도심의 매력 증진 위해 ‘트램’ 필요
상태바
도심의 매력 증진 위해 ‘트램’ 필요
  • 박소영 기자
  • 승인 2019.01.09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찬성…구도심 관광자원 살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
반대…보행권 충돌, 단선 트램은 향후 확장성 없다

트램, 청주시내를 지나갈 수 있을까
한범덕 시장의 판단 관심집중

 

청주시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낸 보고서에 따르면 트램이 서는 정거장은 청주역사 마당, 성안길과 중앙동 사이의 횡단보도 앞, 제2시청사(옛 청원군청), 철당간 광장 등 4곳이다. 단선 트램으로 운영된다. 청주역사 마당에서 출발해 정거장을 거친 뒤 철당간 광장을 돌고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걸림돌은 중앙로에 설치된 소나무와 물길 등 조형물들이다. 소나무는 처음에 뽑으려고 했지만 계획이 수정돼 빗겨나기로 했다. 하지만 실제 중앙로에 가보면 도로폭이 좁아 소나무를 뽑지 않을 경우 트램이 지나갈 여유가 없어 보인다. 트램 속도는 시속 15km내외로 더 줄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처음에는 소나무를 뽑고 트램을 설치하려고 했지만 사이즈가 작은 버스를 도입하면 소나무 옆길로도 지나갈 수 있어서 그렇게 하기로 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김용규 청주시의원은 “실제 현장에 가보면 도로 정비를 하지 않고 트램을 놓기는 상식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도심에 트램을 왜 뜬금없이 놓아야 하는 지 이해가 안 된다. 시내버스를 차라리 전기버스로 전환하는 것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시장님의 아이디어인지, 담당부서의 반짝이벤트인지 헷갈린다”라고 주장했다.

중앙동 차없는 거리 소나무는 트램 설치를 위해 처음에는 뽑기로 했다가 계획안을 수정해 존치시키기로 했다. 트램은 그 사이 공간을 지나도록 계획서를 냈다. /사진=육성준 기자

 

향후 사직로, 상당로 설치 가능해

 

단선 트램 설치안이 갑자기 나오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충북연구원 정용일 연구위원은 “도시의 매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트램을 도입하는 안을 냈다. 구도심의 매력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이벤트가 필요하다. 관광콘텐츠로서 트램을 보면 될 것 같다. 마중물 사업이다. 큰 틀에선 신교통수단으로 트램을 봐야 하지만 우선은 기존의 대중교통 수단과 마찰이 적은 지역에서 시범운영하는 안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밀레니엄 타운, 청주읍성, 북문로, 청주역사, 연초제조창 등 구도심의 자원을 보여주는 데 트램 만큼 효과적인 것이 없다. 향후 상당로와 사직로에 트램을 도입할 수도 있다. 이번 계획안에 그 내용이 포함돼 있다”라고 덧붙였다. 정용일 위원은 트램 설치에 대해 시에 밑그림을 제공했다.

미국 LA에 설치된 트램으로 성안길처럼 상점가가 모인 곳이다. 상권활성화를 이유로 트램이 놓인 사례다. /사진 독자 제공

그의 말을 정리하면 도심에 트램을 설치하는 것은 신교통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도심재생을 위한 이벤트이며 이 모든 것이 청주시의 정책적 자산으로 남게 된다는 것. 구도심의 자원들이 트램으로 인해 다시 재조명을 받게 될 것이고, 이는 관광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시내버스 노선이 가장 많이 중복되는 구간은 상당로와 사직로다. 그는 이번 마중물 사업이 효과를 낸다면 통행이 가장 활발한 중심도로에 트램을 놓을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정 위원은 “현재 단선 트램과 별도로 중심도로에 트램을 놓게 되면 대중교통 정책의 새로운 그림이 그려진다. 단, 지금 계획하고 있는 단선 트램은 도시 대중교통수단으로 보기는 어렵다. 지금 시청에서 도청까지 갈 때 버스를 타는 사람이 없지 않나. 관광용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수송인원이 많다고 해도 시내버스 대신 트램을 타는 게 아니라서 문제는 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모 관련 전문가는 “트램을 해석하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단순히 관광용으로 놓는다고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지금의 안은 확장성이 없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도 신교통수단으로 접근하는 안을 선택할 확률이 높다. 보행권 문제 또한 풀기 어려운 숙제다”라고 지적했다.

 

-------------

한범덕 시장과 ‘트램’ 이번엔 어떤 답을 낼까

과거 재임시절 트램 설치안으로 홍역치러

트램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 변수 될까

-------------

 

한범덕 시장의 2010년 첫 재임시절 ‘트램’은 뜨거운 감자였다. 한 시장이 유럽을 순회방문한 이후 ‘트램’을 신교통수단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을 냈다. 이를 두고 지역사회에선 반대 여론이 들끓었다. 그 후 미세먼지가 전세계의 이슈로 등장하면서 트램에 대한 생각도 우호적으로 바뀌었다. 한 때 트램 도입을 반대했던 윤송현 전 시의원은 “트램의 가치에 대해 잘 모르고 청주시 도입을 비판했다”라고 페이스북에 고백하기도 했다.

이번에 나온 도심 내 트램 설치안은 관광용의 성격이 강하다. 청주시가 가장 마찰이 없는 지역, 가장 효과가 높은 곳을 찜한 것이다. 설령 청주시가 공모사업에 선정되지 않더라도 민선 7기의 한범덕 시장이 어떠한 대중교통 정책을 선택할지는 큰 관심거리다.

당시 트램 도입이 난항을 겪자 미국 IBM사에서 자문을 하러 청주시에 오게 된다. 지역사회 인사들이 자문을 했고, IBM사에서는 중재 역할을 통해 최종 결론을 냈다. 중앙차로제를 설치하고 이후 BRT버스도입, 그 다음 신교통수단에 대해 분위기가 고조되면 트램을 도입하자는 결론이었다. 당시 한 시장은 대중교통전용지구만이라도 임기 내 시행하려고 했지만 마찬가지로 주민공감대를 얻는 데 실패해 무산됐다. 하지만 지금 상황은 갑자기 관광용으로 트램이 튀어나온 셈이다.

트램을 놓고 전국의 도시들이 고민에 빠졌다. 가까운 대전은 가장 먼저 트램 도입을 외쳤지만 아직까지 표류중이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지난 2012년 고가 '자기부상 열차' 방식에서 2014년 '트램 열차'로 전환된 이후 4년여가 넘도록 결론을 짓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기획재정부)는 2017년 말 대전 2호선 트램의 기본계획 변경안에 대해 타당성 재조사를 시에 요구했다.

트램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건설비용(1㎞당 200억 원)은 저렴하지만 위험요소가 많다. 경제성과 교통 편의성을 따지지 않고 우후죽순 격으로 건설할 경우 돈 먹는 하마가 된 경전철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도로보상비가 많이 들어가 트램 사업이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경북 구미시가 1조6000억 원 규모의 트램 5개 노선을 도입하기 위해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하려 하자 구미 경실련이 반발하고 있다. 경기 파주시는 지하철 3호선 연장 대안으로 지난 2015년 트램을 추진했다가 재원 부담(지방비 40%) 때문에 중단했다. 대구시를 비롯해 경기 광명·안성, 경남 창원, 전북 전주도 최근 재정악화를 이유로 트램을 포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