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기자의 '무엇'> 문화재도 엘리트주의가 작동하나
상태바
<박소영 기자의 '무엇'> 문화재도 엘리트주의가 작동하나
  • 박소영 기자
  • 승인 2019.07.04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테크노폴리스 사업부지에서 나온 문화재의 보존에 대해 청주시장은 최근 “마한 유적인지 초기백제 유적인지 학계에서도 논란이 있다. 학계에서 유적, 유물로 역사를 재구성하는 게 중요하다. 상식 선상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학자의 논의와 문화재위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취임 1주년 기념식에서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다 맞는 말이다. 모든 문화재 보존과 관련한 판단은 문화재청 내 개별 문화재 위원들의 몫이다. 대부분 학계 교수들로 이뤄진 집단에서 유물의 보존 방식 및 절차 등이 결정된다.

실제 사업을 벌이고 있는 사업시행자가 낸 안에 대해 문화재위원들은 ‘동의’, ‘부동의’를 하는 것이다. ‘부동의’를 하면 사업시행자는 새로운 안을 제시해야 한다.

여기서 지자체의 역할은 무엇일까. 청주시장과 청주시청 문화재 담당 공무원들은 계속해서 “이 과정에서 지자체가 할 역할이 마뜩치 않다”고 말해왔고, 반면 일부 학자들과 시민사회단체는 “청주시가 문화재 보존을 위해 입장을 표명하라”고 촉구해왔다.

문화재청에 문의해보면 사업시행자가 안을 제시하더라도, 지자체는 ‘의견’을 첨부할 수 있다. 물론 첨부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상식의 선에서 묻고 싶다. 지자체는 지역의 문화재를 지키고 보존하기 위해 얼마만큼의 의지와 노력을 기울여왔는가. 또 상식의 선에서 꼬집고 싶다. 문화재 보존 여부가 사업시행자와 문화재청의 일일 뿐이라는 청주시의 주장엔 모순이 있다. 왜냐하면 청주시는 이 사업의 2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사업시행자다. 참고로 청주테크노폴리스 사업은 민-관 개발사업으로 청주시를 비롯한 신영, 산업은행, 대우건설 등 8개 주주사들이 꾸린 (주)청주테크노폴리스가 사업자다. 대주주는 신영으로 30%지분을 갖고 있다.

사업시행자로서 개발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재는 되도록 덮고 그 위에 아파트와 상가를 지어 분양해야 한다.

설마 청주시가 이러한 이유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고 단정하고 싶지는 않다. 계속해서 상식의 선에서 묻고 싶다. 문화재는 지역의 문화유산이고, 집단기억이고 또 청주의 역사관광자원이 될 수도 있는데 왜 이러한 고민은 아무도 안하는 것일까. 청주시가 지분을 갖고 있는 사업시행자로서 오히려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 아닌가.

청주테크노폴리스 1차 사업부지에선 550여기의 수혈거주지가 나왔다. 삶의 공간인 철기공방, 죽음의 공간인 무덤, 생활의 공간인 집터가 나온 것이다. 시기는 3~4세기 초기백제 시대로 추정된다. 지금은 그곳에 아파트가 세워졌다.

종종 취재 중 만난 청주시청 공무원들은 청주테크노폴리스 유적에 대해 이런 말을 해왔다. “중요한 유적도 아닌데, 난리를 치고 있다”고. 청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속기록을 보면 모 시의원은 “그냥 철덩어리가 나왔을 뿐”이라고 폄하한다.

시장은 이런 말도 했다고 전해 들었다. “국보도 나오지 않았다”고. 그렇다. 씁쓸하게도 문화재에도 엘리트주의가 작동한다. 우리지역 조상의 역사에 대해 후손들은 지금 흔적을 지우기 바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