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았으면
상태바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았으면
  • 충북인뉴스
  • 승인 2005.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승렬(증평군의회 사무과장)
   
이제 며칠만 있으면 우리나라의 4대 명절의 하나인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부르는 한가위가 우리 앞에 다가온다.

한가위를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칭한 것은 한자 사용이 성행하였을 때 중추(中秋) 또는 추중(秋中)이라 불렀고 칠석(七夕)이니 월석(月夕)이니 하는 말들이 중추(中秋)의 추(秋)와 월석(月夕)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헌을 더듬어 볼 때 추석의 유래는 2천여 년 전 신라 유리왕 때부터이며 유리왕은 백성들이 즐겁게 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도솔가를 지어 부르게 하였다고 한다.

또한 한가위는 고대사회에서부터 있었던 만월의 명절이다. 달에 대한 감사함과 달을 위하는 마음을 달떡과 반월형의 송편을 빚는 것으로 표현했었고 달에게 소원을 비는 민간신앙이 생기게 되었으니 달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 그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듯하다. 그 뿐인가, 달의 정기를 받아 잉태를 기원했을 만큼 달은 생산과 결실을 의미하기도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러한 의미에서 오늘날 추석은 한 해 동안 농사를 지어 수확한 햇곡식과 햇과일로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는 의식에서 조상과 자연에 대한 감사함을 고함은 물론, 달맞이나 다양한 민속놀이를 즐기면서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큰 몫을 담당하고 있다.

추석은 가족이 모여 조상의 제의에 참여하는 의식을 통해 조상에 대한 은혜에 감사함과 혈연간의 화목을 도모한다는 맥락에서 우리 문화의 커다란 구심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급속히 변화되는 가운데 추석은 지금도 도시의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 가족이나 친지를 만날 수 있고 동심으로 돌아가 향수에 잠길 수 있는 어머니 품 같은 푸근함을 주고 있다.

우리 선조들이 시대가 변해도 민족을 하나로 묶을 수 있을 만큼 정신적 끈이 되고 있는 추석을 우리에게 물려주셨듯이, 우리는 이 훌륭한 문화를 더욱 발전시켜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그 어느 시대보다도 급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참으로 어깨가 무겁다 아니할 수 없다.

물질만능의 시대인 오늘에 있어 우리 모두가 더불어 잘 살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넉넉한 자와 그늘지고 소외된 어려운 이웃이 더불어 즐겁고 훈훈한 한가위를 맞이할 수 있도록 서로 나누고 베푸는 정이 넘쳐나기를 기대해 본다.

이런 아름다운 마음들이 모여 한가위를 맞이한다면 우리 모두의 행복을 기원하는 간절한 마음을 다 안다는 듯이 乙酉年 한가위 보름달이 활짝 웃으며 내려다 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