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이 안전문화 선도해야
상태바
공공기관이 안전문화 선도해야
  • 충청리뷰
  • 승인 2019.09.11 11: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 정 훈 충북대 안전공학과 교수
원 정 훈 충북대 안전공학과 교수

 

지난 9월 4일 부총리가 주재하는 공공기관장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워크숍은 ‘튼튼한 경제와 안전한 사회 공공기관이 함께 합니다’란 주제로 공공기관의 사례발표와 토론 등으로 진행되었다.

필자가 워크숍에 토론자로 참가하면서 느낀 것은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하면서 안전이라는 분야가 예전에 비해 매우 중요해졌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경영평가에 대한 안전 분야 비중의 확대가 기관장의 관심과 노력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는 있다.

예전에는 경제 활성화란 단어와 안전이란 단어가 서로 양립하지 못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되었으나, 이제는 두 단어가 서로 함께해야 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안전에 대한 인식이 정상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한 주목해야 될 것은 안전에 대한 범위와 대상, 그리고 철학이 많이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먼저,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범위와 대상이 변경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안전관리의 범위와 대상을 고용관계 중심으로만 해석하여 기관이 직접 고용한 직원들만을 대상으로 안전관리를 해왔다. 최근 공공기관에 있어 안전관리의 범위와 대상은 기관의 모든 직원들은 물론이고 발주공사와 보수공사 등을 포함한 기관의 영역에서 일을 하는 모든 협력회사 직원들, 기관의 시설물을 이용하는 모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변경되었다.

즉, 법적인 요건을 만족하는 최소한의 안전관리 개념에서 탈피하여 공공기관이 관여하는 모든 영역에서의 안전관리 주체는 공공기관이라는 인식의 변화, 철학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안전에 대한 공공기관의 사회적 의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관장의 현장 안전 활동과 안전보건경영의지가 중요한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임을 인식하게 된 것도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안전관리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최고 경영자의 의지이며, 활동이다. 현장 안전 활동을 단순히 기관장의 일상적인 현장 방문으로 생각하지 말고 안전에 대한 이슈를 가지고 현장을 방문해 기관장의 안전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 같은 안전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획일적인 안전시스템만 추구할게 아니라 기관의 고유 특성에 맞는 안전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갖추어야 하며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해 공공기관이 안전문화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높은 국내의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발주공사 및 외주 공사 등에 대한 공공기관의 책임이 강화되어야 한다. 공공기관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대부분은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공사와 시설 보수 등과 같은 외주 공사에서 발생하나 공공기관이 작업자들을 직접 고용하는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사고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이 없었고, 바쁘고 잘 모른다는 이유로 무관심해 왔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안전관리는 해당 작업을 하는 협력회사의 책임이라는 시각에서 벗어나 위험 생산자가 안전을 책임진다는 적극적인 시각으로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수준과 지식이 협력회사보다 높으며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수준을 만족할 수 있는 회사만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충북지역에도 다양한 공공기관이 있으며 또한 지자체 산하의 공공기관들이 존재한다. 지역의 공공기관들도 안전은 내 것이 아니라는 과거의 시각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안전관리를 해야 하는 시기에 와 있다. 안전분야 인력 양성도 적극적으로 하며, 안전분야 전문인력의 채용을 늘려 충북지역의 공공기관이 공공분야 안전관리의 모범사례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