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혁신도시 미래 지향점 ‘아리송’
상태바
충북혁신도시 미래 지향점 ‘아리송’
  • 홍강희 기자
  • 승인 2019.11.14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에너지·교육 융합한 슬로건 필요, 지금은 산만
진천·음성 공유도시 약속, 혁신도시 공공시설 나눠써야
주민들은 충북혁신도시가 고층 아파트와 빌딩이 많은 또 하나의 신도시가 아니라 새로운 도시로 성장하기를 원한다.
주민들은 충북혁신도시가 고층 아파트와 빌딩이 많은 또 하나의 신도시가 아니라 새로운 도시로 성장하기를 원한다.

충북혁신도시에 가보니
몸집은 커지는데 목표는 애매

진천군 덕산읍과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 걸쳐 있는 충북혁신도시에는 현재 10개의 공공기관이 입주했다. 나머지 1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오는 12월 들어온다. 이렇게 하면 11개 공공기관 입주는 완료된다.

충북혁신도시는 점점 도시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충북혁신도시발전추진단은 공동주택·학교·문화여가·체육·건강·보육시설 등을 확충하고 내년에도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겠다고 밝혔다. 혁신도시는 충북 도내에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고 세대도 젊다. 그럼 충북혁신도시만이 갖고 있는 특성과 앞으로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노무현 정부는 세종시와 혁신도시를 국가균형발전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했다. 이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핵으로 평가 받았다. 수도권은 미어터지고, 지방은 텅텅비는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으나 이는 어떤 정부도 하지 못한 일이었다. 노 전 대통령의 가장 큰 업적이 국가균형발전정책이라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03년 6월 공공기관 지방이전 추진 방침을 발표한 이후 2007년 1월 혁신도시특별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153개의 공공기관이 10개의 혁신도시로 이주했다.

전국의 혁신도시는 인구 2~5만명으로 설계됐다. 각 지역마다 배치된 공공기관의 성격이 다르다. 해양도시 부산에는 해양수산·금융·영상 분야 기관들이 갔고 울산광역시에는 에너지·근로복지·산업안전 분야 기관들이 들어섰다. 제주는 관광·교육학술 분야, 전북은 농생명·국토개발 분야 등으로 지역 특성을 살렸다.

충북에 터를 잡은 기관들은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비자원, 한국고용정보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국가기술표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법무연수원 등 11개다.

“혁신도시 통합? 일부 얘기”

그런데 혁신도시가 두 개 지자체에 걸쳐 조성된 곳은 충북과 전북 뿐이다. 충북은 진천과 음성, 전북은 전주와 완주 일원에 있다. 행정구역 이원화로 인해 초기에는 많은 혁신도시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했다. 예를 들어 혁신도시내에서는 택시 할증요금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 때문에 불만이 많았다.

그러자 간혹 정치인들이 진천·음성 혁신도시를 통합해 하나의 시로 독립시키자는 얘기를 하지만, 매우 어려운 문제다. 충북혁신도시발전추진단 관계자도 “현재로서는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일부 사람들이 하는 얘기일 뿐이지 구체적으로 논의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 혁신도시는 국가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충북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다만 진천과 음성주민들이 서로 주민편의시설 설치를 건의하면서 중복투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충북혁신도시내에는 곧 도서관, 건강생활지원센터 등이 두 개씩 생긴다. 진천군과 음성군에서 각각 한 개씩 건립하기 때문이다. 진천·음성·괴산·증평은 지난 10월 14일 공유도시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회기반시설 공유와 대규모 사업 유치 공동대응을 약속한 바 있다. 지난해 7월 진천군과 음성군은 함께 노력해 혁신도시에 국립 소방복합치유센터를 유치하는 좋은 사례를 남겼다.

4명의 자치단체장들은 손을 맞잡고 공유도시 실현을 약속했으나 아직 추진된 것은 없다. 실무추진단을 구성해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이것이 본격 추진되면 혁신도시내 공공시설을 4개 지자체가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돈이 들어가는 주민편의시설을 각각 짓지 말고 공유도시 취지를 살려 중복투자를 막자는 게 도민들의 말이다.

주민 “환경좋은 도시 원해”

충북혁신도시가 표방한 비전은 태양광·신재생에너지 국가 성장거점, 교육·ICT기반 살기좋은 도시다. 태양광·에너지, 교육·인재개발 관련 기관이 입주했다고 해서 붙인 것이다. 그러나 이 비전은 주민들이 가까이 하기에는 너무 어렵다. 이 단어들을 융합하고 이 곳 만의 특장점을 더해 향후 충북혁신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단순 명쾌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다. 일종의 슬로건 같은 것이다.

충북혁신도시발전추진단 관계자는 “혁신도시에 태양광·신재생에너지, 교육관련 기관이 들어와 태양광·신재생에너지와 교육·ICT기반 이렇게 두 축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으나 와닿지 않는다는 게 중론이다. 또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설과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해서 스마트시티를 만든다는 것이다.

한 주민은 “스마트시티가 되더라도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 있는 친환경 도시가 됐으면 좋겠다. 그런데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높은 아파트와 빌딩들만 들어서고 랜드마크가 될 만한 게 없다. 오창 호수공원처럼 도시 중심에 공원이 있고, 주변에 나무가 많으면 환경좋은 도시로 이름을 날릴텐데 아쉽다. 충북혁신도시만의 특장점이 있어야 하지 않나. 그것은 기술보다 환경이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의 요구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런가하면 도시의 소프트웨어를 채우는 일도 중요하다. 공공기관 관계자들이 혁신도시로 가족동반 이주를 꺼리는 이유는 대체로 초중고학교 부족, 일자리부족, 여가문화 빈곤 등이라고 한다. 주민생활공동체를 만들고 문화를 꽃피우는 것과 동시에 생활체육과 동아리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추진단 관계자는 “충북혁신도시는 아무 것도 없는 허허벌판에 도시 한 개를 만드느라 다른 곳보다 오래 걸렸다. 2007년 공사를 시작해 2016년 도시기반시설이 완공됐고 올해 공공기관 이전이 끝난다. 공공기관이 처음 들어온 게 2013년이니 2023년은 돼야 어느 정도 도시 모습이 갖춰질 것”이라며 “내년에는 주민 네트워크와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봉사, 재능나눔, 문화예술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