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배달앱 성공열쇠 ‘시민 만족’
상태바
공공배달앱 성공열쇠 ‘시민 만족’
  • 권영석 기자
  • 승인 2020.04.30 0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점기업 횡포에서 촉발된 공공배달앱, 충북도 7억 책정 민간위탁
소비자가 쓰는 앱 개발위해 공공성 살린 지역상생모델 제시 필요

코로나19로 인해 사무실 음식배달 건수가 대폭 늘었다/뉴시스
코로나19로 인해 사무실 음식배달 건수가 대폭 늘었다/뉴시스

코로나19로 점원과 접촉 없이 물건을 구매하는 ‘언택트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흐름은 김난도 교수 등의 저서 ‘트렌드코리아 2018’에서 언급됐다. 책에서는 SNS, 온라인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환경에서 기술의 전파 속도는 더 빠를 것으로 예상했다.

‘언택트 서비스’는 코로나19를 만나면서 더욱 성장했다. 특히 ‘언택트 기술’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던 배달업종은 큰 수혜를 입었다. ‘배달의 민족’으로 대표되는 배달앱들은 사양산업이라고 평가받았던 배달직종을 단숨에 공유경제의 새 모델로 탈바꿈시켰다.

하지만 지난해 말 업계 1위인 ‘배달의 민족’과 2위 ‘요기요’, 3위 ‘배달통’이 합병에 합의하면서 시장에 큰 변화가 생겼다. 시민사회단체에서는 기업결합을 허용한 것과 관련해 우려를 표명했다. 지난 1월 국회정론관에서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등은 “독과점으로 인한 부작용과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결국 우려대로 4월 1일 ‘배달의 민족’은 정책을 변경했다. ‘배달의 민족’에 가입한 점주들은 지역 1개당 한 달에 88,000원을 내는 ‘울트라콜 요금제’를 주로 사용했다. 별도의 수수료가 없다보니 업주들이 너도나도 ‘배달의 민족’을 사용하는 현상도 일어났다. 하지만 4월 1일부터 주문 성사 건당 5.8%의 수수료를 납부하는 것으로 바꿨다.

바뀐 정책에 따르면 하루 평균 30마리를 팔던 치킨집의 경우 모든 주문을 ‘배달의 민족’앱을 통해 받는다면 한 달에 약 100만원을 ‘배달의 민족’측에 지불해야 한다. 기존보다 2배 이상 비용이 증가한 셈이다. 논란이 전국적으로 거세지자 ‘배달의 민족’ 측은 5월부터 원상 복구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미 소비자들의 마음은 크게 요동쳤다. 이에 맞춰 각 지자체에서는 소상공인들에게 부담이 큰 배달수수료만큼은 지자체에서 지원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들이 터져 나왔다. 그 일환으로 공공배달앱 개발·보급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한 지자체는 군산시다. 군산시는 2019년부터 준비하던 공공배달앱 ‘배달의 명수’를 출시했다. ‘배달의 민족’사태에 어부지리를 얻어 4월 한 달 만에 국내 2위인 배달앱 ‘요기요’의 주문건수를 넘어섰다. 가맹점은 군산 내 배달가능업소 1000곳 중 770곳에 달한다.

 

충북, 공공개발앱 개발 계획

 

군산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해 충북도는 공공배달앱 개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내놓았다. 충북도 관계자는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대한 능동적 대처로 골목 상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계획하고 있다”며 “민간 배달앱 업체의 고액 수수료와 광고료를 절감하여 영세소상공인 부담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충북도도 공공배달앱 개발과 운영비에 총 7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충북형 공공배달앱을 사용할 경우 충북마일리지를 적립해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충북도의 계획에 발맞춰 충주시, 제천시는 구체적인 안을 내놓았다.

지자체들의 배달앱 개발 소식에 상인들의 호응은 좋다. 충북외식업협회 관계자는 “수수료를 낮춰주는 공공배달앱이 개발되면 사용하는게 당연지사”라며 “충주는 1500개 업체가 배달앱을 사용하고 있어 공공배달앱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공공배달앱을 많은 시민들이 사용하게 하는 것이 과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공공배달앱은 성공보다 실패사례가 더 많았다. 2013년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만들어 화제가 됐던 배달앱 ‘샤달’은 2015년 12월 종적을 감췄다. 한국배달음식협회는 ‘샤달’의 문제점을 보완해 2014년 ‘디톡(D-TALK)’을 출시했지만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끼치지 못했다. 한국프랜차이즈협회의 배달앱 ‘프랜고’도 시장에서 고배를 마셨다. 디자인과 운영·관리 등에 있어서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월 6일 국회정론관에서 열린 ‘배달의민족·딜리버리히어로’ 기업결합 심사 관련 기자회견 /뉴시스
1월 6일 국회정론관에서 열린 ‘배달의민족·딜리버리히어로’ 기업결합 심사 관련 기자회견 /뉴시스

 

 

 

“소비자 마음 잡아야 성공”

 

지금 배달앱시장에 공공기관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지만 IT업계에서는 여전히 배달앱시장을 레드오션으로 분류한다. 특별한 기술 없이도 만들 수 있다 보니 현재도 수많은 배달앱 업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결국 시장에서 승리하려면 어떻게 공급자, 소비자를 확보하고 운영해 갈지가 관건이다.

배달앱 개발자 김태훈 씨는 “지금까지 ‘배달의 민족’을 잡겠다며 출사표를 던진 앱도 많다. 그중 새벽배송의 강자 쿠팡의 ‘쿠팡 이츠(coupang eats)’, 전 세계 공유플랫폼을 평정한 우버사의 ‘우버 이츠(UBER EATS)’ 등은 수백억 원을 투자하며 야심차게 출발했다. 그렇지만 ’배달의 민족‘의 아성을 넘지 못했다”며 “공공배달앱이 ‘배달의 민족’을 뛰어 넘으려면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지역 친화적인 모델을 제시해 차별성을 내세워 소비자 마음을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4월 27일 행안부에서 ‘적극행정 우수사례’로 선정한 군산시 ‘배달의 명수’는 2월 출시한 이후 계속해서 피드백을 거치며 시민들의 요구를 수용했다. 코로나19라는 호재 아닌 호재를 만나 어부지리로 성공반열에 오른 감이 있지만, 나름 지역 상인들과 협력하며 치밀한 준비과정을 거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앞으로는 지역 공공배달앱에서는 군산시보다 더 세밀한 논의들이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공공영역이 발빠른 민간업체들을 어떻게 따라갈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지금 필요하다며 전국적으로 너도나도 예산을 세우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고민을 다듬기에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구색 맞추기에 급급하면 결국 공공배달앱은 예산낭비사례로 전락할 여지도 있다. 지금은 지자체가 못하니 위탁업체를 찾고 있는데 한정된 예산에서 어떤 경험 있는 업체가 참여해 서로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도 확실치 않다.

그런 와중에도 공공배달앱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상인·주민들 모두에게 공공배달앱이 필요한 상황에 이르렀다. 배달앱 개발자 김 씨는 “지금처럼 수수료를 낮추는 관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 된다. 지역의 공공배달앱으로서 배달업계 종사자의 문제점, 지역 1인가구의 소비에 대한 충족 등에 관한 논의도 병행돼야 배달앱이 성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