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고대사의 심장이 드러났다
상태바
청주 고대사의 심장이 드러났다
  • 박소영 기자
  • 승인 2019.02.13 11:1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TP 1차‧2차 부지 내 문화재 현장공개 안하고 ‘쉬쉬’
백제학회 “송절동 유적 사적 될만한 가치 충분…지자체 나서야”

문제 투성이 청주TP
청주의 마지막 유적지 향방은

청주테크노폴리스(청주TP) 조성 사업으로 청주의 고대사를 밝힐 문화재가 발굴됐다. 2세기와, 4세기 마한에서 초기백제의 500여기가 넘는 집단 거주지와 무덤, 생활시설인 철기 공방 등이 출토됐다. 청주의 뿌리를 설명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가 쏟아져 나온 것이다. 청주TP 지구 내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 외북동, 화계동 일대의 유적을 학계에서는 ‘송절동 유적’이라고 명명한다.

이에 대해 성정용 충북대 고고미술학과 교수는 “송절동 유적은 우리지역의 역사적 뿌리를 보여주는 곳이다. 송절동 유적이 사라진다면 우리 지역의 고대사는 이제 설명할 수 있는 길이 없다. 우리 역사를 지역민에게 알리고 돌려줘야 한다. 지역민이 문화재를 향유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 문화재 활용은 그 다음 문제다”라고 설명했다.

청주TP 1차 부지는 2세기에서 5세기까지 유물이 대거 출토됐다. 인근 신봉동 고분군에선 5세기, 봉명동 유적에선 4세기 토광묘군이 나왔다.

청주TP 1차 부지 문화재에 대해서는 현장 보존이 되지 못하고 소규모 유물전시관만 달랑 건립하는 것으로 끝났다. 31억 5000만원을 투입해 760m²규모의 유물전시관 2개동을 지었다. 전시관안에는 집터 2기와 제철소 1기만을 옮겨온다. /사진=육성준 기자

문화재는 공공재이다

 

문화재는 지역의 자산이고 공공재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청주TP 내 매장문화재는 홀대를 받았다. 문화재 보존 논의보다 개발논리가 앞섰기 때문이다. 사업시행사인 (주)청주TP 자산관리는 2007년 1차 청주TP 부지 사업을 시행한다.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대출을 받지 못하다가 2014년 PF대출을 받아 사업이 진척된다.

청주TP 산업단지(총 면적 152만 7575㎡) 내 유적은 2014년부터 시・발굴조사가 시작돼 2016년에 조사가 완료됐다. 문화재 시굴조사 대상 구역 69만 6770㎡ 중 23만 9268㎡가 발굴조사로 전환됐는데 근래 청주 지역 내에서 행해진 가장 큰 규모의 매장문화재 조사였다. 1차 부지는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중원문화재연구원,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호서문화유산연구원과 충북대학교박물관, 충청대학교박물관 등 청주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는 6개의 기관이 모두 발굴조사에 참여했다.

 

지표조사에서 ‘산업단지 부적절’ 의견

 

발굴조사에 앞서 지표조사가 이뤄졌다. 지표조사 결과 사업부지 내에서는 총 3개 지구 18곳에서 구석기시대~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가 확인됐다.

지표조사 결과를 놓고 열린 자문위원회에서 5명의 학계전문가들은 “유적분포범위가 넓고 중요 유적이 많아 산업단지 조성부지로서는 적절하지 않다. 만약 사업부지를 조성할 경우 제척 지역의 유적문화재 보존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전문가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청주시와 (주)청주TP 자산관리는 산단 조성사업을 밀어붙였다. 청주시는 사업주체인 (주)청주TP 자산관리의 20%지분을 소유하고 각종 인허가를 대행해줬다. 당시 시와 (주)청주TP 자산관리는 “산단 조성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하다. 청주시에서는 첨단산업 업체유치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사업기간을 최대한 단축해야만 타 시도에 비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예상대로 대규모 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문화재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 양시은 충북대 교수는 “도시개발계획을 수립하거나 대규모 개발 사업을 계획할 때부터 문화재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지자체에서의 조례 제정 및 문화재청에서의 관련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라고 지적했다.

발굴조사 과정도 시간이 얼마 걸리지 않았다. 양시은 교수는 소논문을 통해 “실제 청주TP Ⅶ지구는 500여기가 넘는 수혈주거지와 유구, 30여기의 제련유구 등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년이 채 안 되는 기간에 발굴조사가 종료됐다. 전면제토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잦은 침수로 인해 조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기간에 맞추고자 발굴조사를 신속히 진행하였다는 점은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다”라고 밝혔다.

또한 발굴 현장이 시민들에게 공개되지도 않았다. 현행 <발굴조사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조사기관은 학술자문회의 결과 유물 및 유구가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사업시행자와 협의하여 발굴 현장을 공개할 수 있다”고 돼 있다. 하지만 (주)청주TP 자산관리는 현장을 시민들과 학계에 공개하지 않았다. 오히려 발굴조사단에게 함구령을 내렸다.

 

전시관 달랑 짓고 끝나나

 

그 결과 청주TP 1차 부지 문화재와 관련해서는 현장 보존이 되지 못하고 소규모 유물전시관만 달랑 건립하는 것으로 끝났다. 31억 5000만원을 투입해 760m²규모의 유물전시관 2개동을 지었다. 전시관안에는 집터 2기와 제철소 1기만을 옮겨온다. 전시관은 향후 시에 기부채납 된다.

청주TP 2차 부지는 현재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차 부지 또한 일부 중요유물을 ‘이전 복원’하는 것으로 잠정적인 결론이 나왔다.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관계자는 “12월에 전문가 검토회의를 거쳐 의견을 수렴했다. 현장 보존이 아닌 이전복원하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 문화재심의위원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에 대한 보존심의는 문화재청 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하도록 돼 있다. 이 과정에서 지자체는 ‘의견’을 낼 수 있다. 청주시는 송절동 유적 보존에 대해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

이 같은 송절동 유적의 진행과정에 대해 전국 학회에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권오영 백제학회장(서울대 교수)은 “1차 때 소규모 전시관을 짓는 것으로 끝났다고 해서 2차, 3차 부지도 그 방법대로 하려는 고정관념을 깨야 한다. 청주의 고대사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역이다. 청주시가 전향적인 생각을 해야 한다. 청주에서는 여기보다 더 중요한 유물이 나오지 않는다. 고대사의 심장을 폐허로 만들면 안 된다. 후대에 욕 먹을 행동을 하고 있다. 2,3차 부지 추가확장을 하더라도 야산과 구릉쪽은 꼭 보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제대로 된 나라라면 송절동 유적은 사적으로 지정돼야 한다. 청주에서는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나올 수 없고, 국가적으로 봐도 사적의 가치가 충분하다. 왜나면 비교할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 시간적으로 봐도 그렇고 무덤과 집터, 생산유적이 함께 나오는 유일한 사적지다”라고 설명했다.

지금부터라도 지역사회는 지역의 자산인 문화재를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 것인지를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먼저 문화시장을 천명하는 한범덕 청주시장이 이 문제에 대해 답을 줘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성수 2019-02-15 05:21:08
제보 ●●●실미도 사형 (수) 묻힌 장소!, ●●● 제보
*1972년 3월11일 (토요일 07:00 + - 30분) 날씨는 맑음 (본인 내복 입음)
*부평공동묘지 팔각정 약 서쪽 방향 (구경찰종합대 뒷산 ),현 세월호 민간인 추모관과 베드맨트(당시 약수터)장과 일직선 사이, ■ 부개동, 동수동 ,일신동,간석동, 부평2동, 부개동교착점 부근 )
*총5명 : 검은제복 지휘자, 군인 3명 (사병복장,깨끗이 다림), 마을묘지 1명작업자 )
*실미도 사형 (수)들을 묻음
●■미국 213)298-7129 김성수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