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라이브 실시간 확진자수는 20일 18시22분 현재 275명을 기록하고 있다. 총 확진자수는 73,518명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2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73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3,518명(해외유입 6,01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1,804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9,943건(확진자 6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1,747건, 신규 확진자는 총 404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신규 격리해제자는 712명으로 총 60,180명(81.86%)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2,038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23명, 사망자는 1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300명(치명률 1.77%)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신규 | 373 | 135 | 12 | 11 | 14 | 11 | 1 | 3 | 0 | 126 | 9 | 2 | 7 | 2 | 9 | 7 | 18 | 6 |
누계 | 67,5071) | 22,1181) | 2,346 | 8,070 | 3,409 | 1,359 | 911 | 828 | 148 | 17,233 | 1,517 | 1,400 | 1,796 | 905 | 616 | 2,691 | 1,684 | 476 |
1) 지자체 오신고 정정(‘20.12.26. 0시 기준, 서울 –1)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추정)유입국가* | 확인 단계 | 국적 | |||||||
---|---|---|---|---|---|---|---|---|---|---|---|
중국 | 아시아(중국 외) | 유럽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검역단계 | 지역사회 | 내국인 | 외국인 | ||
신규 | 31 | 0 | 8 | 6 | 11 | 6 | 0 | 1 | 30 | 13 | 18 |
누계 | 6,011 | 34 | 2,760 | 1,030 | 1,943 | 222 | 22 | 2,619 | 3,392 | 3,278 | 2,733 |
(0.6%) | (45.9%) | (17.1%) | (32.3%) | (3.7%) | (0.4%) | (43.6%) | (56.4%) | (54.5%) | (45.5%) |
* 아시아(중국 외) : 러시아 4명(3명), 인도네시아 1명(1명), 아랍에미리트 1명(1명), 파키스탄 1명, 카자흐스탄 1명(1명) 유럽 : 폴란드 1명, 헝가리 3명, 독일 2명 아메리카 : 미국 11명(8명) 아프리카 : 가나 1명(1명), 나이지리아 1명, 탄자니아 4명(3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격리해제 | 격리 중 | 위중증 환자** | 사망자 |
---|---|---|---|---|
1.19.(화) 0시 기준 | 59,468 | 12,3631) | 335 | 1,283 |
1.20.(수) 0시 기준 | 60,180 | 12,038 | 323 | 1,300 |
변동 | (+)712 | (-)325 | (-)12 | (+)17 |
* 1월 19일 0시부터 1월 20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1) 지자체 오신고 정정(’20.12.26. 0시 기준 서울 –1)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1월 20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1월 20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37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45.1명), 수도권에서 275명(73.7%) 비수도권에서는 98명(26.3%)이 발생하였다.
(주간 : 1.14일~1.20일, 단위 : 명)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1.20일(0시 기준) | 373 | 275 | 10 | 22 | 18 | 33 | 9 | 6 |
주간 일 평균 | 445.1 | 299.0 | 20.6 | 26.9 | 28.9 | 54.9 | 12.7 | 2.3 |
주간 총 확진자 수 | 3,116 | 2,093 | 144 | 188 | 202 | 384 | 89 | 16 |
수도권
구분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수도권 | 317 | 325 | 341 | 350 | 244 | 241 | 275 | 299.0 | 2,093 |
서울 | 131 | 122 | 148 | 142 | 128 | 95 | 135 | 128.7 | 901 |
인천 | 24 | 23 | 30 | 35 | 13 | 18 | 14 | 22.4 | 157 |
경기 | 162 | 180 | 163 | 173 | 103 | 128 | 126 | 147.9 | 1,035 |
- (서울 성동구 거주/요양시설 관련) 1월 18일 이후 격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0명이다.
구분 | 계 | 요양시설 | 거주시설 | 기타 | ||
---|---|---|---|---|---|---|
입소자 | 종사자(지표환자 포함) | 거주 및 방문자 | 가족 | |||
1.18일 누계 | 26 | 7 | 3 | 9 | 5 | 2 |
금일 누계 | 30(+4) | 8(+1) | 4(+1) | 11(+2) | 5 | 2 |
- (서울 양천구 요양시설2 관련) 1월 13일 이후 격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5명이다.
구분 | 계 | 입소자 | 종사자(지표환자 포함) | 가족 |
---|---|---|---|---|
1.13일 누계 | 51 | 31 | 15 | 5 |
금일 누계 | 55(+4) | 32(+1) | 18(+3) | 5 |
- (서울 동대문구 사우나 관련) 1월 18일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8명*이다.
* (구분) 종사자 1명, 이용자 26명(지표포함, +5), 가족 1명
- (경기 김포시 주간보호센터 관련) 1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이용자 14명(지표포함), 직원 2명
- (경기 용인시 요양원2 관련) 요양시설 선제검사(1.14)를 통해 1월 1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이용자 5명, 입소자 2명, 직원 2명, 가족 2명
- (경기 수원시 교회3 관련) 1월 1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교인 9명(지표포함), 가족 4명
- (경기 양주시 육류가공업체 관련) 접촉자 관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4명이다.
구분 | 계 | 종사자 | 가족 | 지인 |
---|---|---|---|---|
전일 누계 | 100 | 77 | 21 | 2 |
금일 누계 | 104(+4) | 81(+4) | 21 | 2 |
충청권
구분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충청권 | 35 | 17 | 20 | 17 | 23 | 22 | 10 | 20.6 | 144 |
대전 | 3 | 3 | 5 | 3 | 2 | 7 | 1 | 3.4 | 24 |
세종 | 2 | 4 | 1 | 1 | 2 | 3 | - | 1.9 | 13 |
충북 | 18 | 7 | 6 | 7 | 8 | 5 | 2 | 7.6 | 53 |
충남 | 12 | 3 | 8 | 6 | 11 | 7 | 7 | 7.7 | 54 |
- (충남 서천군 교회 관련) 1월 1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교인 4명(지표포함), 가족 3명
- (세종시 음악학원 관련) 1월 1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4명(지표포함), 교사 1명, 이용자 2명, 가족 2명, 지인 1명, 동료 1명
- (충북 괴산군/음성군/진천군/안성시 병원 관련) 1월 16일 이후 격리자 추적검사를 통해 2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52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
① 괴산 병원 | 53 | 환자 41명(지표포함), 종사자 6명, 방문자 6명 |
② 음성 병원 | 204(+7) | 환자 183명(+5), 종사자 21명(+2) |
③ 진천 병원 | 132 | 환자 129명, 종사자 3명 |
④ 안성 병원 | 63(+15) | 환자 60명(+14), 종사자 3명(+1) |
호남권
구분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호남권 | 39 | 24 | 36 | 34 | 18 | 15 | 22 | 26.9 | 188 |
광주 | 30 | 5 | 6 | 14 | 11 | 7 | 11 | 12.0 | 84 |
전북 | 3 | 6 | 17 | 5 | 3 | 2 | 2 | 5.4 | 38 |
전남 | 6 | 13 | 13 | 15 | 4 | 6 | 9 | 9.4 | 66 |
- (광주 광산구 요양병원 관련) 1월 17일 이후 격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6명이다.
구분 | 계 | 환자/입소자 | 종사자(지표환자 포함) | 가족/지인 | 기타 |
---|---|---|---|---|---|
1.17일 누계 | 149 | 99 | 32 | 16 | 2 |
금일 누계 | 156(+7) | 106(+7) | 32 | 16 | 2 |
- (전남 영암군 사찰 관련) 접촉자 관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7명*이다.
* (구분) 신도 8명(지표포함), 주민 17명, 어린이집 5명(+5), 기타 7명(+7)
(지역) 전남 33명, 광주 3명, 서울 1명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 관련 환자와 검사자 현황을 알리면서, 아직 검사를 받지 않은 BTJ열방센터 방문자는 조속히 검사를 받을 것을 요청하였다.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 관련 환자 및 검사자 현황(1.19. 18시 기준)]
구분 | 대상/관련 | 양성자 |
---|---|---|
합 계 | 787명(+3) | |
방문 추정자 | 3,003명 | 265명(+3) |
추가 전파 | 9개 시도* | 522명 |
*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충북, 충남, 광주, 부산, 전남
※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법무부와 합동조사단을 구성하여 실시한 서울동부구치소 내 코로나19 집단발생 역학조사 중간 결과를 밝혔다.
구치소 직원 확진자 발생(’20.11.28) 후, 1월 20일까지 구치소 내 확진자는 총 1,203명(사망 2명)으로 누적 발병률은 △직원 4.9%(27명/552명), △수용자 42.9%(1,176명/2,738명)이다.
※ 추정노출시기 : ’20.11.13.~’21.1.9.
[ 시기별 확진자 발생현황 ]
(단위: 건/명, ’21.1.20. 기준)
구분 | 합계 | 일제검사 등 | 전수검사 | |||||||||||
---|---|---|---|---|---|---|---|---|---|---|---|---|---|---|
’20. 11.27 | ∼’21. 1.14 | ’20년 | ’21년 | |||||||||||
1차 12.18 | 2차 12.23 | 3차 12.27 | 4차 12.30 | 5차 1.2 | 6차 1.5 | 7차 1.8 | 8차 1.11 | 9차 1.14 | 10차 1.17 | |||||
검사 (건) | 직원 | 3,474 | 112 | 719 | 423 | 416 | 14 | 465 | - | 429 | - | 27 | 426 | 443 |
수용자 | 12,074 | 267 | 794 | 2,419 | 2,019 | 1,685 | 1,298 | 1,122 | 338 | 574 | 549 | 513 | 498 | |
확진 (명) | 직원 | 27 | 11) | 23 | 1 | 2 | - | - | - | - | - | - | - | - |
수용자 | 1,176 | - | 772) | 185 | 296 | 260 | 139 | 127 | 70 | 12 | 7 | 2 | 1 |
* 검사일 기준
1) 동부구치소 관련 최조 확진자(지표환자) 확진일(’20.11.28)
2) 동부구치소 관련 수용자 중 최초 확진자 확진일(’20.12.14)
방역당국은 구치소 내에서 △지표환자(직원) 관련 직원 중심의 1차 유행과 △무증상 신규입소자를 통한 유입으로 추정되는 수용자 중심 2차 유행이 있었다고 보았다.
- 1차 유행과 2차 유행 간 △역학적 접점이 관찰되지 않았고, △바이러스의 유전적 유사성이 낮았으며, △1차 유행 동안 수용자의 양성률이 매우 낮다*는 점에서 두 유행은 각각 유입경로가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 수용자 중 첫 양성자 확인된 12.14일까지 수용자 양성률은 0.17%(1명/593명)에 불과
- 또한, △2차 유행 초기에 신규입소자가 많은 8층과 미결수용자의 발병률이 높고, △신규입소자와 추가 확진자 간 바이러스의 유전적 유사성도 높으며,
- △신규입소자와 기존 수용자 간 역학적 접점이 다수 관찰된다는 점에서 2차 유행은 신규입소자를 통한 유입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 2차 유행 초기 확진자의 층별/형 확정 여부별 발병률 ]
(단위: %/명, ’20.12.19. 기준)
계 | 층별 | 형 확정 여부 | ||||||||
---|---|---|---|---|---|---|---|---|---|---|
5층 | 6층 | 7층 | 8층1) | 9층 | 10층 | 11층 | 12층 | 미결수용자2) | 기결수용자 | |
8.3% (192/2,318) | 10.6% (21/199) | 5.0% (14/282) | 9.4% (25/267) | 40.4% (120/297) | 1.0% (3/290) | 1.4% (4/283) | 0.9% (2/213) | - (0/198) | 10.6% (165/1557) | 1.6% (11/671) |
* ‘20.12.19일 1차 전수검사 직전 수용실 위치 및 형 확정 여부 기준
1) 8층 발병률 40.4%, 기타 층 3.5% (상대위험도 : 11.5배)
2) 미결수용자 발병률 10.6%, 기결수용자 1.6% (상대위험도 : 6.6배)
현재 동부구치소는 제한된 수용실 여건으로 수용자 신규 입소 시 최초 1주간은 1인 격리, 다음 1주간은 신규입소자 간 다인실 내 공동 격리 체계로 운영하고 있었다.
- 이로 인해 격리 해제 전 검사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격리 후 본 수용실 배치 과정에서 잠복기의 신규입소자를 통해 수용동 간과 층간의 감염 확산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치소 내 유행은 △정원을 초과한 과밀 수용환경, △구치소 내 공동생활, △법원 출정과 변호사 접견 등 수용자 간 접점이 많은 미결수용자 중심의 구치소 특성 등으로 확산되었고,
- 수용자와 접점이 많은 업무지원 작업자를 통한 수용실 간 또는 수용동 간 전파범위가 확대되었다고 보았다.
그간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법무부와 합동으로 전 교정시설 대상 일제 검사를 실시*하고, 지난 1월 8일 교정시설의 집단 대응지침을 마련하였으며,
- 신규 수용자 14일간 예방격리 및 혼거실 이동 전 일제검사 시행, 방역관리 책임자 지정 등 자체 대응계획 마련 등의 조치를 취해왔다.
* 52개 기관 65,888명(12.31∼1.13)
- 앞으로도 전국 교정시설별 방역계획 수립 등 교정시설에 특화된 재발방지 대책을 추진하고 점검해나갈 예정(법무부와 합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