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라이브 실시간 확진자수는 21일 18시26분 현재 220명을 기록하고 있다. 총 확진자수는 73,918명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2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0명, 해외유입 사례는 21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3,918명(해외유입 6,03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5,48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0,620건(확진자 4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6,100건, 신규 확진자는 총 401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신규 격리해제자는 666명으로 총 60,846명(82.32%)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1,75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17명, 사망자는 1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316명(치명률 1.78%)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1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신규 | 380 | 122 | 19 | 7 | 22 | 5 | 0 | 2 | 1 | 133 | 6 | 7 | 10 | 4 | 14 | 8 | 15 | 5 |
누계 | 67,8871) | 22,240 | 2,365 | 8,077 | 3,431 | 1,364 | 911 | 830 | 149 | 17,366 | 1,523 | 1,407 | 1,806 | 909 | 630 | 2,699 | 1,699 | 481 |
1) 검역 집계오류 정정 사항 : 검역 -1명(’20.11.11. 0시 기준)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1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추정)유입국가* | 확인 단계 | 국적 | |||||||
---|---|---|---|---|---|---|---|---|---|---|---|
중국 | 아시아(중국 외) | 유럽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검역단계 | 지역사회 | 내국인 | 외국인 | ||
신규 | 21 | 0 | 3 | 7 | 8 | 3 | 0 | 6 | 15 | 10 | 11 |
누계 | 6,0311) | 34 | 2,7621) | 1,037 | 1,951 | 225 | 22 | 2,6241) | 3,407 | 3,2871) | 2,744 |
(0.6%) | (45.8%) | (17.2%) | (32.3%) | (3.7%) | (0.4%) | (43.5%) | (56.5%) | (54.5%) | (45.5%) |
* 아시아(중국 외) : 인도네시아 1명, 미얀마 1명(1명), 스리랑카 1명, 유럽 : 영국 1명, 헝가리 2명, 루마니아 1명(1명), 독일 1명, 터키 1명(1명), 세르비아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8명(6명), 아프리카 : 모잠비크 1명(1명), 이집트 2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1) 검역 집계오류 정정 사항 : 검역 -1명(’20.11.11. 0시 기준/아시아 –1명, 검역단계 –1명, 내국인 –1명)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격리해제 | 격리 중 | 위중증 환자** | 사망자 |
---|---|---|---|---|
1.20.(수) 0시 기준 | 60,180 | 12,0371) | 323 | 1,300 |
1.21.(목) 0시 기준 | 60,846 | 11,756 | 317 | 1,316 |
변동 | (+)666 | (-)281 | (-)6 | (+)16 |
* 1월 20일 0시부터 1월 21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1) 검역 집계오류 정정 사항 : 검역 -1명(’20.11.11. 0시 기준)
1월 21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1월 21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380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28.6명), 수도권에서 277명(72.9%) 비수도권에서는 103명(27.1%)이 발생하였다.
(주간 : 1.15일~1.21일, 단위 : 명)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1.21일(0시 기준) | 380 | 277 | 18 | 23 | 15 | 36 | 6 | 5 |
주간 일 평균 | 428.6 | 293.3 | 18.1 | 24.6 | 27.1 | 50.7 | 12.0 | 2.7 |
주간 총 확진자 수 | 3,000 | 2,053 | 127 | 172 | 190 | 355 | 84 | 19 |
수도권
구분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수도권 | 325 | 341 | 350 | 244 | 241 | 275 | 277 | 293.3 | 2,053 |
서울 | 122 | 148 | 142 | 128 | 95 | 135 | 122 | 127.4 | 892 |
인천 | 23 | 30 | 35 | 13 | 18 | 14 | 22 | 22.1 | 155 |
경기 | 180 | 163 | 173 | 103 | 128 | 126 | 133 | 143.7 | 1,006 |
(서울 강남구 사우나 관련) 1월 1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8명*이다.
* (구분) 이용자 9명(지표포함), 종사자 2명, 가족 6명, 지인 1명
(서울 서대문구 의료기관/교회 관련) 1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
① 의료기관 | 3 | 환자 1명(지표환자), 종사자 2명 |
② 교회 | 10 | 교인 6명, 가족 3명, 지인 1명 |
(경기 구리시 주간보호센터 관련) 1월 16일 시설 정기 선제검사를 통해 확진자 4명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이용자 5명(지표포함), 종사자 3명, 가족 2명
(경기 광명시 보험회사 관련) 1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직원 12명(지표포함), 가족 2명
(경기 화성시 제조업 관련) 1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7명(지표포함), 가족 3명
(경기 용인시 수지구 교회 관련) 1월 19일 이후 격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24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
① 수지구 교회 | 201(+8) | 교인 146명(지표포함, +3), 가족 14명(+2), 기타 41명(+3) |
② 직장1 | 11 | 동료 9명, 가족 2명 |
③ 직장2 | 12 | 동료 10명, 가족 2명 |
충청권
구분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충청권 | 17 | 20 | 17 | 23 | 22 | 10 | 18 | 18.1 | 127 |
대전 | 3 | 5 | 3 | 2 | 7 | 1 | - | 3.0 | 21 |
세종 | 4 | 1 | 1 | 2 | 3 | - | 1 | 1.7 | 12 |
충북 | 7 | 6 | 7 | 8 | 5 | 2 | 7 | 6.0 | 42 |
충남 | 3 | 8 | 6 | 11 | 7 | 7 | 10 | 7.4 | 52 |
(충남 천안시 우체국 관련) 1월 1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6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가족 2명, 지인 2명
경북권
구분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경북권 | 31 | 42 | 30 | 31 | 23 | 18 | 15 | 27.1 | 190 |
대구 | 10 | 23 | 15 | 13 | 15 | 11 | 7 | 13.4 | 94 |
경북 | 21 | 19 | 15 | 18 | 8 | 7 | 8 | 13.7 | 96 |
(경북 상주시 가족 관련) 1월 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지인 6명, 가족 1명(지표포함), 기타 4명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후 1년간의(’20.1.20.~’21.1.19.) 집단발생 관련 주요시설을 설명하였다.
1년간(’20.1.20~’21.1.19)의 코로나19 환자 발생 현황
- (누적 확진자) 총 73,115명 /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141.0명
- (성별) 여자 51.0%(37,254명), 남자 49.0%(35,861명)
- (연령별) 주요 경제활동인구인 20~50대*가 61.3% 차지, 60세 이상은 28.6%
* 20∼30대(28.2%), 40∼50대(33.1%) - (지역별) 서울(22,717명, 31.1%)·경기(18,378명, 25.1%)·인천(3,580명, 4.9%)이 61.1%로 수도권에서 대다수 발생, 그 외 대구 11.2%(8,176명) 발생
- (누적 사망자) 총 1,283명 / (치명률) 1.75%
※ 본 자료는 2021.1.19.일 0시 기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신고된 코로나19 확진환자로 역학조사 진행 등에 따라 변동 가능함
1년간 누적 확진자의 주요 감염경로는 △집단발생(신천지대구교회 관련 포함/33,223명)이 전체의 45.4%로 다수를 차지,
△확진자 접촉(20,157명, 27.6%), △조사 중(13,473명, 18.4%) 순이었다.
집단발생 관련 주요 시설은 △종교시설이 가장 많고,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중이용시설 중에는 △실내·외 체육/여가시설, △학원·교습소 등 교육시설, △음식점·카페, △다단계 방문판매 시설, △유흥시설 등 사람 간 밀집·밀접 접촉이 많고, 음식물 섭취 등으로 지속적인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시설 등 이었다.
집단발생 관련 주요시설별 발생 현황 > : 그림 붙임 참조
방역당국은 최근 수도권에서 운영 재개한 △실내체육시설, △학원 △다단계·방문판매시설 등의 사업주·이용자들께 방역수칙(△입장인원 제한, △마스크 상시 착용, △음식물 섭취 금지 등)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요청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가 운영 중인 안전신문고*의 신고 사례를 공유하고, 방역조치의 철저한 이행을 강조하였다.
*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앱(안드로이드, IOS) 및 포털에서 코로나19 위반사항 등 신고 가능
‘유흥시설 및 홀덤펍’은 전국적으로 집합금지 시설로, 영업 자체가 불법이나, 일부 영업 중인 사례가 신고되었다.
△영업이 불법이나 늦은 밤까지 영업하는 유흥주점, △단골손님 대상의 주말 영업하는 홀덤펍, △앞문 셔터를 내린 채 뒷문으로 손님을 출입시키며 영업하는 홀덤펍 등이 신고되었다.
이에 대해, 경찰청, 지자체는 집합금지 시설을 대상으로 현장점검 및 단속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상 선제검사 현황을 설명하였다.
지난 1주간(’21.1.8. ~ 1.14.), 전체 대상기관의 95.36%(12,363개소/12,964개소), 전체 대상인원의 101.14%(415,568명/410,903명)를 검사하여 21개소*에서 총 25명의 양성을 확인하였다.
* 요양병원 3개소, 요양시설 17개소, 정신요양·재활시설 1개소
기관별*로는 △요양병원 118.96%, △요양시설 86.38%, △정신병원 105.6%, △정신요양·재활시설 86.33%, △양로시설 60.86%, △장애인거주시설 118.95% 검사를 시행하였다.
* 전체 대상기관 수 대비 실시 기관 수
방역당국은 선제검사는 주기적 검사를 통해 집단발병을 예방하여 노인 등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검사 참여를 당부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1년간 코로나19 위기를 국민 여러분의 단합된 힘으로 극복할 수 있었고, 오늘도 현장에서 고생하는 의료진과 방역 인력에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또한, 1월 말까지 연장된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와 5명 이상의 사적 모임 금지 조치를 꼭 실천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국민들께 중요한 세 가지 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요청하였다.
첫째, 모든 사적인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한다.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 음주, 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피한다.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검사를 받는다.
▪ 의료기관은 코로나19 의심 환자 또는 호흡기 증상 환자가 방문할 경우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하여, 선별진료소에서 별도의 문진 절차 없이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거듭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