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동안 싸운 결과가 결국 ‘원안 통과’
상태바
5개월 동안 싸운 결과가 결국 ‘원안 통과’
  • 박소영 기자
  • 승인 2015.11.12 11: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시 CI갈등, 집행부‧시의회 수준 보여주는 사건
“집행부, 시민의견 수렴 절차 무시해 파행 원인제공”

갈등사회, 해법을 찾아서
충북에서 벌어지는 갈등 돌아보기
갈등조정단 역할은 무엇인가
빅데이터로 본 ‘청주시 CI’논란①
빅데이터로 본 ‘청주시 CI’논란②
갈등해결 위한 대안 찾기

청주시의 새 상징마크(CI)는 지난달 27일 원안대로 확정하는 것으로 일단락을 맺었다. 지난 2월 공모에 이어 10월까지 길게 보면 8개월 동안 씨앗모양의 새 상징마크로 인해 청주시는 둘로, 혹은 셋으로 갈라져 싸운 셈이다. 충청리뷰는 충북발전연구원 이상용 전문위원과 함께 청주시 새 CI도입과 관련한 갈등에 관해 언론기사 487건(총 574건 중 중복제외)을 2015년 2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했다. 언론보도의 빈도추이와 정책행위자와의 관계, 핵심키워드로 분석해 도표화했다.

 

지난 6월 관련기사 175건

 

언론빈도 추이(도표1)를 보면 6월에만 175건의 기사가 나오는 등 가장 쟁점화 된 시기였다.

청주시는 새 CI를 7월 1일 통합시 출범 1주년에 맞추기 위해 업체에 용역을 맡겼고, 청주의 영문 첫 글자 C와 J를 '생명의 씨앗'으로 상징화한 새 CI를 개발했다. 하지만 당초부터 시민의견 수렴 부재 등의 지적을 받았다.

시의회는 지난 5월22일 8회 임시회에서 CI 제정을 골자로 한 조례안을 승인했으나 야당의 격렬한 반발이 일어났고 의회 운영 파행을 야기했다. 6월 22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17명은 본의회장 단상을 점거하고 밤샘농성을 벌였고, 김병국 의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의원들 간에 몸싸움도 일어났다.

시의회는 여야 합의로 집행부인 청주시에 재검토를 요구했으나 크게 달라진 것은 없었다. 시는 기존 CI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영문 'CHEONGJU CITY'만 추가한 CI 개정안을 만들어 임시회에 제출해 여야 의원으로부터 형식적인 재검토라는 비난을 받았다.

청주시 새 CI는 몇 개월간 재검토, 의견 수렴 등의 형식적 과정을 거쳤지만 잠재적 갈등이 계속됐고 해결된 것은 없었다. 마지막 27일 시의회 본회의 표결 또한 다수당인 새누리당 의원들의 지원에 힘입어 시가 원하던 대로 결정됐다. 여당과 야당은 분명하게 갈렸다.

여전히 새정치민주연합 시의원들은 “여야 합의로 새 CI의 재검토를 권고했으나 집행부가 씨앗 모양의 상징물은 그대로 둔 채 영문표시 'CHEONGJU CITY'만 추가로 표기했다”고 문제제기했다.

무엇보다 CI 개정안이 의회를 통과하기도 전에 새 CI를 국제공예비엔날레, 청원생명축제 등에 집행부가 사용한 점, 집행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조례 제정이 기본 원칙인 의회를 무시한 점 등은 청주시와 새누리당이 비판을 받아야 하는 대목이다.

 

핵심키워드에 ‘시민’은 없네

 

핵심키워드로 CI를 분석해보면 정치적인 키워드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청주시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여야, 새누리당, 시의회 등의 출현빈도가 높다. 이는 새 CI가 정치적 쟁점사안으로 문제 접근 및 해결이 이뤄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상용 전문위원은 “출현빈도가 높은 단어들은 대부분 긍정적‧중립적인 단어보다는 부정적 단어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새 CI도입이 사회갈등을 야기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반면 시민참여, 시민단체 등의 단어 사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시민 공감대를 얻는 과정이 생략됐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불어 시민들의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접근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핵심 키워드(도표2)는 기사 가운데 18회 이상 출현한 단어를 분석한 것이다. 긍정적‧중립적 단어로는 재검토, 보류, 사용, 합의, 통과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부정적 단어는 파행, 교체, 갈등, 논란, 반발, 반대, 사퇴, 거부 순으로 보였다. 출현키워드의 네트워크 지도(도표3)는 7회 이상 언급된 단어를 따로 분리해 한 눈에 보여준다. 청주시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새누리당의 언급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를 두고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청주시 CI는 집행부와 시의회의 수준을 알 수 있는 사건이다. 시민의 의견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집행부가 제정해 공표하면 시민들이 따라올 거라고 생각하는 태도 자체에 문제가 있다. 엉뚱하게 청주시 새 상징마크로 이승훈 시장의 리더십까지 도마 위에 올랐다. 절차를 무시한 행정, 시민을 무시한 접근 등이 지역사회의 불필요한 갈등을 일으켰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차라리 재검토 할 때 기존안을 배제하고 새롭게 접근했다면 모를까 기존안을 놓고 또다시 찬반 투표에 부치는 등 전반적인 행정 절차가 시민의 공감대를 얻기 어려웠다”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