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끌어온 KTX오송역 개명
지역발전 위해 빨리 결론내자
상태바
4년 끌어온 KTX오송역 개명
지역발전 위해 빨리 결론내자
  • 권영석 기자
  • 승인 2018.04.03 21:14
  • 댓글 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지인이 잘 모르는 오송역, 통합청주시출범 때부터 개명추진
올 1월 충북연구원 조사에서 62.8% 오송역 명칭 개정 찬성

‘KTX오송역 명칭개정 시민위원회’가 지난 3월까지 5차례에 걸쳐 KTX오송역 개명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마지막 기자간담회에서 이두영 집행위원장은 “간담회 결과 개명에 대한 찬반보다 오송 발전에 대한 관심 욕구가 강했다”며 “역세권 개발을 비롯해 오송 발전이 계획과 달리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신이 컸다”고 말했다. 그리고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활동을 중단했다.

오송역 개명은 2014년부터 청주시에서 추진하는 일이다. 추진 이유는 외부사람들이 오송역이 어느 지역에 있는지 모른다는 데서 출발했다. 그래서 대안으로 KTX청주오송역이 제시되었고 현재 유력한 후보다. 찬성측은 KTX청주오송역으로 개명하면 외지인이 잘 모르는 오송에 청주라는 브랜드 효과가 더해져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주장한다.

여론조사 결과들도 개명 쪽으로 무게를 싣고 있다. 2015년 한 일간지가 실시한 오송역 개명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47.4%가 개명이 필요하다고 답변했고 지난 1월 발표된 충북연구원의 조사에서는 시민사회 전문가집단 80명 가운데 62.8%가 오송역 명칭 개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래서 용역을 추진한 충북연구원은 ‘역개명을 먼저 추진해야 한다’는 종합 검토 의견을 냈다.

 

엇갈리는 주민입장

하지만 일부 오송 주민들은 반대한다. 그들은 오송역 개명 추진 과정에서 오송 주민의 요구가 배제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터넷카페 ‘아이러브오송’을 중심으로 일부 오송 주민들은 오송역개명추진절차를 문제 삼고 있다. 주민 정 모씨는 “오송역 개명을 추진하는 주민대표가 어떤 과정으로 선정되었는지 아무도 모른다. 조사해보니 관변단체라는 말도 있더라”고 주장했다. 그는 “개명절차를 묻는 공식조직의 이름조차 ‘오송역개명 찬반시민위원회‘가 아니라 ’오송역개명 시민위원회‘라며 “위원회 명칭부터 일방적인 추진으로 비쳐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위원회의 결정을 신뢰할 수 없다“며 ”투명한 과정으로 주민들과 논의될 때까지 반대 입장을 펴겠다”고 말했다.

다른 한 쪽에서는 오송역세권개발사업을 주장하고 있다. 오송역세권개발은 2005년 ‘오송 신도시 기본계획’ 수립이후 공영개발방식으로 추진된 사업이다. 선거철 자치단체장들의 대표 선거공약사업이지만 지금까지도 사업진척이 더디다.

이준명 오송역세권개발조합 조합원은 “역개명과 역세권개발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근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역세권사업개발조합을 구성해 사업을 70%정도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환지개발방식으로 진행되는 오송역세권개발은 토지주들의 동의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를 마친 상황이다.

하지만 지난해 3월에는 시행사인 피데스개발이 사업철수의사를 밝혔다. 이유는 사업성부진. 총 2300억원의 비용이 투자되는 사업인데 환지방식만으로는 사업비를 충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조합은 해결책으로 지자체에 상하수도설치비용 약 300억을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현재 그들은 자신들의 요구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이나 답을 원한다. 그래서 지난 2015년 오송역 개명논의 때 반대운동을 벌였다.

 

“언제까지 원점에서 맴돌 것인가”

오송역 개명문제는 오송 주민뿐 아니라 청주시민들에게도 공감대가 형성됐다. 추진하는 청주시 입장에서 오송역 개명은 시급한 일이다. 국회분원 설치를 앞두고 KTX세종역을 신설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재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주시의 오송역이라는 위상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빠를수록 좋다는 게 시민들의 여론이다.

그렇지만 이번에도 역개명에 성공할 수 있을지가 미지수다. 시민위원회의 논의에서 역세권개발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민들의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게다가 또 다른 주민들은 오송역개명반대 여론수렴과정에서 역세권주민의 입장만 듣는다는 불만도 제기했다. 그 결과 의견을 조율할 시민위원회는 결정을 미뤘다. 현재로서는 선거후로 미뤄질 공산이 크다. 앞으로 역개명을 추진할 때 시민들의 의견을 잘 조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다만 청주시는 명분을 앞세워 강행하기 힘들다. 국토교통부 고시 ‘철도 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에서는 주민 반대로 갈등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경우 개명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한다. 종국에 반대에 부딪히면 또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격이 될 수 있다.

상황은 지지부진하지만 오송역 개명의 본질은 청주시 발전을 위한 것이다. 역의 개명이 그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젠 주민들의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시민 김영식 씨는 “오송주민들은 오송만 생각하지 말고 청주시 전체를 위한 일이 무엇인지 선택해야 한다. 오송역개명 이야기가 나온 것이 4년이나 됐다. 이제 결론을 내야 한다. 언제까지 입장차를 이유로 원점에서 맴돌 것인가. 이미 1월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62.8%가 개명에 찬성했다. 하루빨리 개명을 추진하기 바란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5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유정 2018-04-05 13:08:20
기사가 편파적이네요.

오송주민 2018-04-05 10:57:54
오송역 개명 왜 필요한가요?

처음 ktx역사 지으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경부호남 분기역으로서 오송역을 유치하고 이제와서 개명을 위한 시민위원회 만들었네요 국민의 세금으로 말이죠
그 돈으로 오송역 주변 깨끗하고 편리하게 관리되었으면 합니다

오송역주변 쓰레기 관리할 사람 없다는 답변 주는 청주시는 대책을 세우기 바랍니다

미지수 2018-04-05 09:38:25
기자의 사견만 들어간 이런기사는 갈등만 일으킬수 있는 불공정하고 나쁜언론이라 동의합니다

오송주민 정모씨 2018-04-05 08:52:09
기사에 나온 오송주민 정모씨입니다. 전화상에서 얘기한 92% 이상 오송주민의 압도적 반대, 관변단체가 둔갑한 시민위원회, 지역 갈등 유발하는 위원장, 비리로 얼룩진 시도의원과 연구원, 공무원이 만든 충북연구원의 엉터리 여론조사 내용은 쏙 빼고, 오히려 엉터리 여론조사를 인용했네요. 더하여 마치 역세권개발과 오송역 개명을 거래한다는 식의 프레임으로 기사를 썼네요. 시민의 편인양 간사하게 자료를 빼낸 후, 핵심은 숨기고, 이런 식으로 짜맞추기 하는 능력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부패한 지자체보다 더 나쁜 언론이네요.

너님 2018-04-05 07:31:24
처음부터 관심갖고 제대로 지었어야지. 이름 바꾸는데 쓰는 예산은, 애초에 잘지었으면 안들어가도 되는 돈 아닌가? 에효ㅡ 세금을 이런데다 써대니... 오송역은 청주시민보다 세종시민이 더많이 사용하나보네? 청주오송역이라고 명칭바꾸면, 대체 뭐가 달라지는거지? 위상??? 진짜???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