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전문대 생존 열쇠는 산업체위탁
상태바
위기의 전문대 생존 열쇠는 산업체위탁
  • 김진오 기자
  • 승인 2009.09.02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시험으로 입학한 직장인들이 전체 재학생의 10% 이상
교육기회 확대 긍정평가 속 학점남발 등 질적 문제 대두

2006년 9일 당시 최순영 민주노동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충북지역 전문대 미충원률이 32.9%에 이르렀다. 전국 사립 전문대 미충원률 11.3%는 물론 지방 사립 전문대 미충원률 18.3%에 비해서도 두 배 가까이 높은 것이다.

최 의원은 사립 전문대들의 2005년도 등록금 의존율이 89.7%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들 대학들의 재정압박은 사실상 학교운영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 산업체 위탁 교육이 전체 재학생의 숫자를 크게 웃돌면서 위기를 맞고 있는 전문대 생존 열쇠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외부강사 일색의 강의와 학점남발 등 교육의 질적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반대로 성적이 떨어지거나 돈이 없어서 대학을 못가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것이며 지방의 전문대들은 해마다 어떻게 정원을 채울 것인가 심각하게 고민하게 됐다.

더욱이 2012년부터 대학 입학 정원보다 고교 졸업생 수가 부족해질 것으로 분석되면서 이들 대학은 생존을 위한 무한경쟁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입시철만 되면 교수들 까지 연구실을 나와 연고가 있는 고등학교로 신입생 유치 세일즈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 이같은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전문대들이 생존을 위해 선택한 것 중의 하나가 직장인 무시험 입학이다.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직장인들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라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가 내려지지만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는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사실상 전문대들이 산업체 위탁 교육을 신입생 유치와 대학 재정난 해소책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서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는 개선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위탁교육 충청대 622명·주성대 417명

고등교육법의 ‘산업체 위탁교육’ 조항에 따라 전문대는 산업체로부터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근로자의 교육을 위탁받아 실시할 수 있다.
‘산업체’는 제조업 등 일반 기업 뿐 아니라 농·어업 등 1차산업이나 자영업자 까지 포함돼 그 폭이 매우 넓으며 일반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전문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특히 산업체 위탁 교육은 지원 자격만 충족된다면 무시험으로 전형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심해지면서 입학금 면제나 등록금 감면 등의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고 있다.

청주권의 라이벌 격 전문대인 충청대와 주성대도 일찌감치 1994년부터 산업체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산업체 위탁교육은 위탁한 산업체별로 강의가 진행되는 단독위탁과 본교위탁으로 구분되는데 충청대는 6개 단독위탁 교육장에서 6개 학과(전공) 266명, 본교 14개 학과(전공) 179명 등 622명이 재학하고 있다.

주성대는 본교 위탁 없이 8개 단독 위탁 교육장만 운영하고 있으며 5개 과(전공) 417명이 교육받고 있다.
전체 정원이 충청대와 주성대가 각각 5100여명과 2900여명인 것을 감안하면 이중 산업체 위탁 재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12.2%와 14.4%로 10%를 훌쩍 넘기고 있다.

가장 인기있는 과는 4학기 수강을 마치고 졸업할 경우 복지사 자격이 주어지는 사회복지 계열로 충청대는 단독과 본교위탁을 포함해 7개 교육장에서 아동복지, 노인복지, 복지행정 전공이 개설돼 운영되고 있으며 주성대도 5개 교육장에서 사회복지와 아동복지과가 운영되고 있다.

교수님 수업은 1과목 나머진 외부강사

일찌감치 취업을 선택한 직장인들의 대학진학 꿈을 실현하고 전문기술 인력을 양성한다는 측면에서 산업체 위탁교육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업무를 마치고 야간에 강의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산업체 위탁 재학생들의 출석률은 90%에 이를 정도로 열의가 뜨겁다. 평균 연령이 사회활동이 활발한 30대 중반 이후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출석률이다. 복지 계열의 학과나 전공은 지원자가 정원을 초과해 선발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 인기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육의 질 측면에서는 개선돼야 할 점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선 지나치게 외부 강사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 꼽히고 있다. 인기 있는 복지계열의 경우 충청대는 사회복지학부에 노인복지와 아동복지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데 22명의 교수중 전임강사 이상 정규 교원은 6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22명은 모두 겸임인 외부 강사들이다.

주성대도 마찬가지. 복지계열의 사회복지과는 교수 11명중 6명이, 아동복지과는 7명중 4명이 겸임으로 외부 강사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한학기 평균 20~22학점, 8~10개 과목중 전임 이상 교수가 강의하는 경우는 고작 1과목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발하다시피하는 학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충청대의 A과의 경우 지난 1학기 학생들의 전체 평점이 4.5점 만점 중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주성대의 B과 또한 B학점 이하 학생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라는 것.

한 재학생은 “중간고사나 기말고사는 사실상 형식에 그치는 것 같다. 출석도 크게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고 변별력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 적당히 해도 좋은 성적으로 졸업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산업체 위탁생의 기여 최소 몇십억원
우수 교원 확보 등 내실 다지기 관심 가져야

충청대의 올해 전체 예산은 354억4500만원, 주성대는 186억6800만원이다. 이중 등록금 수입은 327억7100만원과 155억4100만원으로 각각 92.5%와 83.2%를 차지한다.

두 대학의 예산중 등록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상황에서 재학생의 10%가 넘는 산업체 위탁생의 기여도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한 대학 관계자는 “일반 전형의 경우 지원률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며 등록률은 대학의 생존이 걸린 문제로까지 받아들여지고 있다. 반면 산업체 위탁생은 무시험 전형이기 때문에 일단 지원자들의 이탈이 적고 복수 합격 등의 경우도 없어 등록률은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재학생 수 비율을 적용해 금액으로 환산하면 이들이 내는 연간 등록금은 충청대 36억7000만원, 주성대, 16억6200만원이다. 입학금 면제나 등록금이 감면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사업체 위탁생들이 납부하는 등록금은 두 대학에 매우 중요한 수입원인 것이다.

충청대와 주성대 모두 사업체 위탁교육을 실시한지 15년이 흐른 만큼 우수교원 확보 등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 교수는 “산업체 위탁생이라는 이유로 교육의 질 보다는 보집과 졸업생 배출에 무게가 더 실렸던 게 부인못할 사실이다. 이제는 교육환경이나 교원, 성적 관리 등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선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