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활성화, 온누리상품권에 달렸다
상태바
전통시장 활성화, 온누리상품권에 달렸다
  • 윤상훈 기자
  • 승인 2015.09.23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 등 민간 참여 유인 등 실효성 있는 유통대책 필요” 지적
▲ 추석이 불과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제천지역 전통시장을 찾는 발걸음이 평소처럼 뜸하다.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제천중앙시장 전경.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끝 모를 경기침체에 메르스, 가뭄 여파까지 겹쳐 지역 상권은 좀처럼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제천지역 상인들은 극심한 매출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온누리상품권’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국 모든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유통되는 온누리상품권은 백화점 상품권 등 다른 상품권에 비해 활용도가 매우 높다.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가증권으로서 액면금액의 60% 이상을 사용하면 잔액을 환급받을 수도 있다.

이 같은 장점 덕에 온누리상품권은 2009년 7월 시장에 첫 선을 보인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전국적으로 연간 5000억 원 가까운 시장을 형성했다.

상인들 “전통시장 개념 확대 필요”

그러나 온누리상품권 이용의 근거법인 유통산업발전법 상 전통시장에 포함되지 않는 농수산물 공판장, 민영 농수산물 도매시장,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등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을 받을 수 없다. 울며 겨자먹기로 현금 대신 온누리상품권을 결제받아도 이들 농수산물 도매상인들은 금융기관을 통한 환전이 불가능하다. 결국 이들에게 흘러들어온 온누리상품권은 이른바 ‘깡 세탁(불법할인)’ 과정을 통해 현금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도매상인 A씨는 “현실적으로 고객이 물건값을 온누리상품권으로 내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도 상품권 취급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은행에서 환전을 할 수가 없다”며 “정부의 주먹구구식 탁상행정에 애꿎은 농수산물 도매상인만 피해를 입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불만은 적지 않다. 소비자가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하려면 무조건 현찰을 내야만 한다. 신용카드가 현금보다 많이 이용되고 통신사 페이 서비스까지 줄줄이 출시되는 포스트 신용사회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발행된 온누리상품권을 현금으로만 사라는 것은 시대에 뒤쳐진다는 것이다.

소비자 “현금판매 고집, 시대착오”

직장인 B씨는 “직장인들 입장에서는 온누리상품권도 하나의 물건으로 인식되는데, 신용카드로 구매가 불가능하다면 굳이 현금을 지불해서 살 이유가 없다”며 “앞으로는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 같은 통신 페이에 온누리상품권 기능을 접목해 소비자와 전통상인이 함께 윈윈하는 묘안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온누리상품권 유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나 지자체의 보다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온누리상품권 시장 규모를 연간 1조 원대로 늘리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실제 유통되는 온누리상품권은 5000억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공기업이나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온누리상품권 구매 비중은 점점 높아지는 반면, 대기업 등 민간의 참여가 점점 떨어진 것이 주된 요인으로 풀이된다. 중소기업청 등 주무 부처가 온누리상품권 시장 확대를 위한 보다 현실적인 기업 유인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또한 제천시를 비롯한 지역 공공부문에서도 온누리상품권 이용 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천 중앙시장 상인 C씨는 “현재 제천시와 경찰, 교육지원청 등에서 산불 신고 포상제를 비롯한 다양한 금품 시상제도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지역 기관별로 시행 중인 각종 포상금품을 현금이나 물품이 아닌 온누리상품권으로 제공한다면 공공예산의 일부가 지역 전통상권으로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