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지방언론 육성책 논의 활발 “관심 고조”
상태바
[미디어] 지방언론 육성책 논의 활발 “관심 고조”
  • 충청리뷰
  • 승인 2002.07.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뿌리 못내린 지방신문 ‘고사직전’

고사 직전에 달한 지방신문에 대해 ‘육성법이 제정되어 국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역언론의 활성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충북의 경우 좁은 지역에 4개 지방일간지가 난립하다 보니 제대로 운영되는 곳이 거의 없는 지경에 처해 있어 인위적 구조조정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던 터여서 지방언론 육성책에 대한 관심은 클 수밖에 없다.
한국기자협회는 지난 11일 국회의원회관 1층 소회의실에서 ‘지역언론 활성화’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지역언론 육성 및 지원법 제정을 위한 연구’를 주제로 이날 발제를 맡은 순천향대 장호순 교수(언론학)는 “한국의 지역언론은 제도적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소생하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장교수는 편집권 독립, 언론사 경영 투명성 확보 등 다양한 언론개혁의 제도적 과제 중 특히 보수신문 3사(조선·중앙·동아)가 전체 신문 시장의 74% 이상을 잠식하고 있는 여론 시장 독과점의 폐해에 주목, 풀뿌리 지역언론의 활성화 방안 연구에 천착해온 대표적 언론학자다.
학교 교육이 정상화되려면 교사 1인이 맡는 학생 수를 줄여 각 학생의 적성과 수준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듯, 언론개혁 또한 각 지역 언론매체가 그 지역의 실정과 요구에 맞는 뉴스를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원활히 공급할 때 완성될 수 있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보통 지역언론은 학자에 따라 시·도 단위의 지방종합일간지와 구별되는 시·군 단위의 주간 지역사회신문을 일컫기도 하나 장교수가 정의하는 지역언론은 통상적 의미의 지방(수도권과 서울에 포함되지 않는 지역) 언론은 물론이고 서울의 언론과 전남 해남의 언론까지 모두 아우르는 횡적이고 수평적인 개념이다.
현재 전국에는 80여개의 지방일간지, 12개의 지역 민간방송, 500여개의 지역 주간신문들이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지 못해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광고주협회의 2000년 조사에 따르면 지역신문의 구독 비율은 8.7%로 미국과 독일의 지역신문 비율 94%, 프랑스 73%, 일본 44%, 영국 28% 등에 비해 턱없이 뒤처지는 수준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지역신문들은 신문 발행 경험 부족, 영세한 재정규모, 지역사회의 무관심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지역신문의 경영상태가 부실한 근본적인 이유로 장교수는 수백년 동안 굳어진 중앙중심적 제도와 관습을 꼽았다. 오랫동안 중앙지에 길들여진 지역 주민들이 아직 지역신문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과거 권력에 의해 강요된 지역언론 탄압 정책의 영향으로 아무리 지역감정이 강한 곳이라도 언론만은 지역언론이 아닌 중앙언론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장교수가 이날 그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공개한 ‘지역언론 육성법 시안’에 따르면 국가는 지역언론의 육성과 지원을 위해 ‘지역언론발전기금’을 설치·운영하고 발전기금의 효율적이고 공정한 관리·운용을 위해 지역언론발전위원회를 설치하도록 돼 있다.
시사평론가 김영호씨는 이에 대해 “육성법안만으로 지역언론이 자생력을 가질 수는 없다”며 “신문 판매시장과 그에 못지않게 독과점화가 급속하게 진행된 광고시장 등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현직 지역언론 기자들의 자성론(自省論)도 나왔다. 전북일보 김재호 정치부 차장은 “무엇보다 독자들의 신뢰를 잃어버린 지역신문들의 자성이 우선이다”고 전제하고 “법 제정 원칙에 찬성하지만 경영철학과 공익성을 갖춘 지역언론사를 선별해서 지원할 수 있도록 운영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교수는 “법 제정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언론들이 해당 지역 시민·언론단체나 개혁성향 언론학자들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중앙언론에만 맡겨서는 결코 치유될 수 없는 한국 사회의 산적한 여러 문제들을 수많은 지역언론들이 나서서 낱낱이 파헤치고 대안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 지역의 한 중견 언론인은 “육성책은 곧 규제책과 같은 의미를 갖게된다”며 육성될 만한 가치가 있는 언론이 보호받을 수 있는 풍토 마련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