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지원, 타 도시보다 열악해
상태바
작은도서관 지원, 타 도시보다 열악해
  • 박소영 기자
  • 승인 2021.12.23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시 작은도서관 120여곳, 민간운영자 역량에만 맡겨
타 지자체 공간운영 인력지원 및 세부적인 지원책 많아

 

청주시내 작은도서관은 120여 곳이다. 작은도서관의 운영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방법은 없을까. 사진은 청주시내 한 작은도서관 사진.
청주시내 작은도서관은 120여 곳이다. 작은도서관의 운영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방법은 없을까. 사진은 청주시내 한 작은도서관 사진.

 

청주시내 작은도서관은 120여 곳이다.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은 사재를 털어 공간을 만들고, 사람들과 책을 나눈다. 운영자들은 제각각이다. 아파트 내 도서관의 경우 법 제정이 돼 500세대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설치가 돼 있다. 아파트 도서관은 입주자대표회의에서 도서관을 운영한다. LH공사가 지은 아파트에도 작은도서관이 있다. 이외에 종교단체가 운영하는 도서관, 개인이 운영하는 도서관들로 나뉜다.

 

도서관지기들이 뿔났다

 

작은도서관 운영단체 중 약 50여 곳이 청주시작은도서관협의회(이하 청도협)에 소속돼 있다.

그런데 최근 이들은 작은도서관 활동을 폄하하는 발언을 공식석상에서 들었다. 지난 121일 충북도가 주최한 도서관 종사자 대상 교육에서 강연자로 온 청주대 문헌정보학과 A교수가 작은도서관의 존재이유를 잘 모르겠다며 비하 발언을 한 것이다. 이후 청도협 몇몇 회원들은 행사를 주최한 충북도 도서관팀을 방문해 A교수의 발언에 대해 문제제기했다. 충북도 도서관팀은 작은도서관 관계자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달했다. 하지만 이들은 A교수에게 직접적인 사과는 듣지 못했다.

이를 두고 내부에서도 공식적인 문제제기를 할지 말지 갑론을박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충북도의 사과로 갈음하고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기로 했다.

청주시내엔 14개의 공공도서관이 권역별로 설립돼 있다. 하지만 공공도서관이 거리상 먼 사각지대는 존재한다. 도서관 학자들은 걸어서 갈 수 있는 도서관이 마을마다 필요하다. 선진국을 보면 작은도서관들이 지역마다 모세혈관처럼 설립돼 있다고 설명한다.

율량2지구 아파트 촌에 살고 있는 박 모 씨는 인근에 도서관이 없다는 게 항상 불만이었다. 차를 타고 도서관을 가는 게 아니라 걸어서 갈 수 있는 도서관이 인근에 생기기를 바랐다. 맘카페에도 이러한 요구가 많이 올라와있다. 최근 LH임대아파트에 노리울작은도서관이 새롭게 단장하고 문을 열었다. 대출서비스가 돼 정말 잘 이용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을 못 늘리면 작은도서관 지원을 확대해 빈틈을 메워주면 좋겠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작은도서관 관계자들은 청주시나 충북도의 지원이 일단 타시도에 비해 한참 모자란다고 지적한다. 청주시내 작은도서관은 120여곳이지만, 관계자들은 실제 제대로 운영되는 곳들을 80여곳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연간 사업비 388만원을 받는 곳은 22군데다. 또 도서구입비도 22곳이 388만원을 받는다. 충북도는 올해 처음으로 도서관팀을 신설했다. 충북도는 시도 매칭사업으로 1년에 작은도서관 20군데에 200만원씩을 지원한다.

이에 대해 한 작은도서관 관계자는 작은도서관을 줄세우는 정책이다. 예산마다 항목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다. 적은 예산을 주고 검열한다는 기분이 들 때도 있다. 예산을 받기 위해서 수많은 서류가 필요하고, 정산과정도 그만큼 복잡하다. 이럴거면 차라리 예산신청을 하지 않는 게 낫다고 판단하는 곳들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의 모범사례들

 

작은도서관 관계자들은 도서관 정책이 앞선 도시로 부천, 창원, 전주, 김해, 순천 등을 꼽는다. 예를 들어 성남시의 작은도서관의 경우 평가에 따라 차등지원을 받는데 A등급을 받을 경우 운영비 1500만원을 지원받는다. 예산운영에 대한 세세한 제한 사항이 없다.

또 김해, 전주, 부천, 창원, 전주 등은 공립형·공공형 도서관 지원정책에 따라 작은도서관에 공공성을 부여하고 끌어안았다. 이들 도시들은 작은도서관에 인력지원을 하고, 도서관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있다.

청도협 또한 이러한 전문인력 파견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청도협 관계자는 지금 작은도서관은 철저히 자기희생으로 운영해야 한다. 도서관 문을 열기 위해 관장들이 따로 아르바이트를 한다. 일부 도서관 형태에 따라 인력 지원을 받기는 하지만 미미한 수준이다. 지자체에서 현재 지원 받는 예산 또한 프로그램 운영비나 책 구입비 외에는 다른 데 쓸 수가 없다. 시간이 지나면 비품이 낡고 고장나기 일쑤인데 이런 건 전혀 지원이 안 된다. 현실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아파트 도서관의 경우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개점휴업인 곳이 많다. LH공사가 지은 임대아파트 경우는 지역아동센터가 함께 부설로 운영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올해는 처음으로 LH공사가 청주시내 4군데 아파트에 도서관 코디를 파견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한편 광역도시의 경우 거점도서관을 지정해야 한다. 거점도서관의 역할은 도내 도서관의 전체적인 사업을 파악하고 조율해야 한다. 도내엔 용암동에 있는 청주시립도서관이 올해 거점도서관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거점도서관에 걸맞은 정책이 아직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한 도서관 관계자는 민선 7기 도서관 정책을 보면 이전보다 나아진 게 없다. 거점 도서관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을 만들어내야 한다. 타 시도에 선진사례가 널려있다. 이를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