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시를 읽고 또 읽었다
상태바
30년간 시를 읽고 또 읽었다
  • 박소영 기자
  • 승인 2022.01.26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단에서 시를 가르치고, 시인과 함께 살아온 정민
최근 생애 첫 평론집 ''시의 골목 행간 풍경'출간

대학에서 현대시를 공부하고 30여 년 동안 시인과 시집을 탐독해온 저자의 첫 평론집이 나왔다.정민 충북학연구소 연구원은 이번에 평론집 <시의 골목 행간 풍경>(도서출판 고두미)을 펴냈다.

평론집이라고 해서 딱딱한 이론만 추구하지 않았다. 비교적 자유롭게 시에 대해 탐구하고, 자신의 감상을 쉬운 언어로 옮겨놓았다. 이는 시에 대한 저자의 문학관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이론의 틀이 아니라 삶으로서 접근한 것이다.

 

정민 씨는 최근 생애 첫 평론집을 펴냈다. /사진=박소영 기자 

 

 

시는 인문학이다

 

그는 대학에서 시를 공부할 때부터 시를 읽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시를 줄곧 가르쳤다. 지금까지 30년 가까이 현대시를 공부하면서 그는 시를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지답을 얻었다고 한다. 인생이 막막할 때 시는 언제나 해답을 주었다고 한다.

이번 평론집에선 지역의 친분이 있는 시인들과 그와 그동안 연을 맺은 시인들의 시집 평론 글을 모았다. 윤석위, 이안, 송선미, 함기석, 송찬호, 이종수, 류정환, 이성배, 고 류지남, 고 조원진, 김상철 시인들의 시와 평론이 함께 소개된다.

 

 

주위에서 한번 쯤 책으로 정리할 때가 됐다는 얘기를 많이 했다. 그동안은 내가 책을 내도 되나라는 갈등이 많았다. 용기를 내 처음으로 책을 엮었다. 1부에는 여러 편의 시를 하나의 주제로 꿴 글들을 모았다. 2부에는 시집 발문과 서평 글에 고 류선열 시에 관한 글 한 편을 보탰다. 3부에는 근래 화제가 되었던 문학관과 문인 기념사업에 대한 글을 모았다. 성격은 좀 다르지만 시와 시인에 관련된 글이라 함께 묶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그동안의 삶과 시 공부를 돌아보게 됐다고 말한다. 저자는 서문에서 삼십 년이 다 되어 가는 지금도 나는 갈피를 잡지 못하고 시의 골목을 서성이고 있다. 시를 쓰다가 팽개치면서 시를 읽다가 접어두면서, 많다고 할 수 없는 시인들을 만나고 헤어지면서 여기 몇 개의 흔적을 모아 본다고 밝힌다. 처음에 저자는 시를 눈으로 읽었고, 그 다음 그동안 배운 지식을 갖고 재단했지만 이후 마음으로 읽게 됐다고 고백한다. 시의 바깥 골목을 유유히 걸었던 저자의 고백은 그래서 단단하고 쓸쓸하게 들린다.

나는 시를 통해 시인의 삶과 만난다. 그래서 언어는 관념이지만 그 언어로 지은 시의 집은 삶의 실체라고 할 수 있다. 시에 대한 감동이 깊어지고 그 여운이 길면 나는 그 시를 틈틈이 만지작거린다. 그러다보면 내 생각과 행동도 조금씩 변하는 것 같다. 이렇게 시가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고 그러다 보면 개인 개인의 변화한 삶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시는 우리에게 위안이 되고 희망이 된다.”

그래서 그는 시는 인문학이라고 말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돌아볼 수 있고, 미래를 기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를 읽고 교감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지식보다 지혜가 더 필요한 것처럼. 시를 읽으면서 내 꿈은 무엇이고, 나는 어떠한 사람이 돼야 할지 되돌아봤다. 비겁하게 도망쳤던 인생의 순간들을 반성하기도 했다. 시를 바르게 재단하는 것보다 감상의 자세로 느껴보고 싶었다. 그러니까 내 글이 나왔다. 강단에서 학생들과 이러한 방식으로 수업했다. ‘자기생각을 쓰는 연습을 했다.”

 

문화기획에도 관심 많아

 

그 뿐만 아니라 문화기획에 관심이 많은 저자는 문학관의 건립과 운영, 문학제의 기획과 진행의 태도에 대해서도 견해를 피력했다. 문화기획자로 어쩌다 일하게 된 그는 지역의 문화환경에 대한 날선 글들도 내놓았다.

그는 지금 충북작가회의 부회장직을 맡고 있다. 홍명희문학제를 약 20여회 이상 기획해왔다. 홍명희문학제는 사계절 출판사와 충북작가회의가 공동주최로 행사를 열고 있다. 홍명희 인물에 대한 이념논쟁으로 정작 괴산군에서는 지원을 받지 못하고, 때때로 일부 보훈단체 회원들이 행사 때 훼방을 놓기도 한다. 괴산군은 홍명희의 소설 속 인물 임꺽정에 대해서는 지역의 브랜드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

뿐만 아니라 일부 문인들을 추모하는 문학관이 지역에 세워져 있지만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그는 정지용, 오장환 문학관의 운영실태를 비판한다.

저자는 문학관을 세울 때 현장의 이야기를 같이 듣고 의견을 조율해야 하는 데 전혀 소통이 되지 않고 있다. 기념사업을 비롯한 문학관 사업을 할 때 예술가들을 들러리로 사용하려 한다. 지금의 문화행정 수준에서는 문학관 건립을 유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문학관에 대한 그의 글을 옮겨본다. “문학은 창작이든 향유든 어느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우리의 삶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재 문학이 설 자리는 거의 없어 보인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굳이 문학관을 세우려고 하는 것일까? 아마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러므로 문학과 문학관의 효율성을 따질 때 더 이상 인원이나 경제적 수치로만 계산해서는 안 된다. 한 사람에게 미치는 감동이 세상에 가져올 파문을 생각하고 문학관을 짓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문학관은 여러 사람들이 부단히 노력하고 마땅한 시간을 들여 쓰는 하나의 문학작품이 되어야 한다.”

저자는 1972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나 충북대 국문과에서 공부했다. 2000<청주문학>에 평론을, 2007'새로운 감성과 지성 4' 연꽃에 배를 묶다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