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처리 공공시스템 아직도 멀었다”
상태바
“가축분뇨 처리 공공시스템 아직도 멀었다”
  • 김영이 기자
  • 승인 2023.03.02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가 자체 정화 가축분뇨방류수 오염도 공공처리보다 64.9배 높아
가축분뇨 질산 함량 높아 심각한 수질오염 및 부영양화 야기 우려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 공공처리시설 5개 시·군 6곳 불과 확대 시급


고기 소비량이 늘면 사육 가축 수는 자연히 증가한다. 가축 사육두수가 늘어난다는 것은 이들이 배설하는 분뇨가 그만큼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공공시스템은 아직도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심각한 하천오염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확대와 과잉 생산되는 퇴비를 줄이고 고체연료화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는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이 연구한 '충북도내 가축분뇨 처리시설 방류수 배출특성 및 관리방안' 논문이 잘 말해준다. 이 연구에는 조성렬 전 산업폐수과장(현 환경조사과장)을 팀장으로, 신지수·김세은·구정분·박민호·이보라·민윤희(이상 환경연구사) 씨가 참여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육류소비량은 201346.0에서 201968.1으로 67.5% 증가했다. 가축분뇨는 전체 하·폐수 발생량의 0.68%에 불과하지만 수질오염(BOD)부하량은 44%에 달한다. 여기엔 고농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함유하고 있어 공공수역에 유출될 경우 심각한 수질오염 및 부영양화를 일으킬 수 있다.

한 농가가 가축분뇨를 퇴비화하기 위해 분뇨를 축사에 쌓아놓고 있다.
한 농가가 가축분뇨를 퇴비화하기 위해 분뇨를 축사에 쌓아놓고 있다.

 

가축분뇨 매일 9548t 발생

 

2021년 우리나라에서 사육된 가축은 총 19900만 마리로 매일 128000t의 분뇨가 발생했다.

충북에서는 2637만 마리가 9548t의 분뇨를 배출했다.

사육가축은 소(한우) 249000마리, 돼지 545000마리, 젖소 21000마리, 21905000마리, 기타320만 마리다. 이중 음성이 7486000마리로 가장 많으며 청주, 충주, 진천, 음성에서 도내 총 가축의 67.9%17919000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충북의 분뇨배출량 9548t중 소, 돼지, 닭이 85% 이상을 차지하고 이중 소가 33.5%로 가장 높은 분율을 점유하고 있다. 다음은 돼지3 0.0%, 22.5%이다.

발생되는 가축분뇨의 76%는 농가에서 자체로 퇴비화, 액비화하고 12%는 시설 위탁처리, 12%는 공공처리시설 및 농가 내 자가 처리시설에서 처리해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다.

그러나 가축분뇨를 공공처리하는 시설은 청주, 진천(2), 보은, 괴산, 충주 등 5개 시·군에서 6개를 운영하고 있을 뿐 나머지 6개 시·군은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퇴·액비화하거나 정화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20222월부터 12월까지 가축분뇨처리시설 방류수를 채취한 94건과 20191~ 202211월까지 지자체에서 의뢰한 지도점검 시료 309건을 분석한 결과 공공처리시설에서는 수질기준 이내로 정화해 일정 농도로 방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농가 내 자체 정화방류시설은 방류수 농도의 변동성이 매우 크고, 평균 오염도는 공공처리시설에 비해 항목별로 2.8배에서 64.9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공처리시설의 방류수 오염도 평균 농도는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1.4/L, TOC(총유기탄소량) 32./L, SS(물 속의 불용성 부유물질) 3.6/L, T-N(질소) 20.5/L, T-P() 0.07/L였다. 그러나 자체 정화방류시설은 BOD 23.3/L, TOC 89.8/L, SS 27.9/L, T-N 69.3/L, T-P 4.8/L로 나타났다.

시료 중 각 항목의 편차는 BOD 0.3~1.800/L, TOC 0.3~1394/L, SS 0.2~1790/L, T-N 0.2~1248/L, T-P 0.0~96.0/L으로 편차가

매우 크고 최대 값은 심각한 수준의 오염도를 보여줬다.

 

분뇨에너지화 확대해야

 

가축분뇨는 질산의 함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적정하게 처리되지 않고 방류될 경우 심각한 수질오염 및 부영양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정한 처리를 위한 지도점검 및 단속이 시급하다.

논문은 공공처리시설은 방류수 수질 기준이 엄격하고 전문인력이 상주해 관리하고 있는 반면 정화방류시설은 농가 내에서 자체 처리하기 때문에 적절한 처리가 이뤄지지 않아 방류수 수질의 편차가 크고 일부 처리장의 경우 오염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가축분뇨가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우선 공공처리시설이 없는 제천, 옥천, 영동, 증평, 음성, 단양에 적정 처리를 위한 시설 설치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발생되는 퇴비의 양이 경지면적 대비 적정 시비량보다 106.4% 많고 시·군별 불균형(24.7~184.4%)도 심해 퇴비 생산을 줄이거나 시·군별 균형 분배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조성렬 팀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축분뇨를 혐기성 소화하여 메탄으로 바이오가스화하거나 건조시켜 고체연료화 하는 등의 가축분뇨에너지화 확대 대책이 아쉬운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