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정책과 대운하
상태바
지역문화정책과 대운하
  • 박소영 기자
  • 승인 2008.01.17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소영 문화부 기자
이명박 당선자의 핵심 정책인 대운하 건설에 대한 평가가 다각도로 이뤄지고 있다. 공학적인 관점에서 생태문화적인 관점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진다. ‘뜨거운 감자’가 된 새 정권의 대운하 정책. 그런데 갑자기 지역문화예술가들은 이러한 ‘임기 말 정권교체 풍경’에 대해 어떤 생각을 품을까 궁금해졌다.

예총, 민예총 등 지역 문화예술단체 소속 몇몇 예술인들은 “어떤 문화정책이 수립되든 지역에서 실행되려면 오랜 시간을 요한다”는 입장을 표했다. 한마디로 지역과는 무관한다는 입장이다. 한 예술가는 ‘문화지체’이론을 들며 문화의 느린 속도를 강조했다. 정권이 바뀌면서, 사람은 바뀔 수 있어도 시스템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하지만 참여정부가 실천했던 차상위계층을 위한 문화정책들과 예술가 복지정책들이 미약하나마 지역에서 힘을 발휘했고, 이제 중요한 것은 뿌려진 씨가 얼마나 자라느냐는 것이다. 문화를 거대한 생물로 비유할 때, 그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고 키워 갈 사람은 역시 지역사람들이라는 답이 나온다. 그렇다면 이러한 지역문화방정식에서 충북도는 훌륭한 답안을 챙기고 있는 것일까.

도는 경제특별도를 향해 성큼 성큼 달리기를 하고 있다고 발표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들의 체감온도는 그리 높지 않다. 경제특별도를 외치고 있던 충북도가 또한 하루아침 문화특별도를 꿈꾸는 것은 마치 척박한 토양에 맑은 물길을 내겠다는 대운하정책과 오버랩 된다.

지역문화는 지금 어디로 흘러가고 있을까. 눈에 보이지 않는, 또한 감지할 수 없는 속도로 한걸음씩 전진하고 있지 않을까. 새 정권의 새 정책이 하루아침 물길을 바꿀 수 없듯이, 우리는 지금까지 나온 문화예술 의제를 더욱 견고히 해야 한다. 또한 아직 논의조차 미미한 예술인 복지 정책들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모든 분야가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지역의 문화정책은 ‘변화’와는 무관한 과거의 것들을 관리 유지하는데만 급급하다. 가장 실험적이어야 할 문화정책은 중앙에서 세운 정책들의 지역 할당분을 겨우 담당하는 수준이다. 지역마다 지역성을 갖고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어 가야 할텐데, 이를 뒷받침할만한 정책은 나오지 않는 형국이다. 정책이 없는데 어찌 지역예술이 발전할 수 있겠는가.

이쯤에서 타 지자체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일단, 문화도시임을 내세우며 나름의 정책을 펴고 있다. 가령 인간문화재들을 전부 한 곳에 모으기 위해 파격적인 재정 후원에 나선다거나, 학술대회 유치 전략 등 각 도시의 색깔에 맞는 정책을 펴고 있다. 젊은 예술가 양성 등은 비교적 흔한 정책일지 모른다.

그런데 충북도와 청주시의 문화정책은 과연 어떨까. 한마디로 답보상태. 올해도 여전히 변화는 없어 보인다. 정책이 없으면 뒷걸음 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술이 점점 자본과 결합하고 있는 이 때, 이러한 흐름을 무시하고 예술가는 예술가 ‘개인의 삶’ 일 뿐이라고 언제까지 등 돌릴 수 있겠는가.

최근 대구시가 문예진흥기금, 무대지원사업, 찾아가는 문화활동 등 대표적인 기금 배분 정책에 있어 실질적인 변화를 꾀해 박수를 받고 있다. 담당자는 “사업을 바꾸는 과정에서 너무나 피곤하고 힘들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사실 칼자루를 쥐고 있는 것은 지자체의 업무 담당자들이다. 쉽게 말해 충북도의 문화예술 관련 공무원들이 과거를 더 이상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대안을 찾아 ‘피곤한 일’들을 기꺼이 감당해야만 한다. 그 다음 지역문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정책들을 고민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떨어진 체감온도를 조금이나마 올릴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