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 낳는 게임산업, 충북은 뭐했나?
상태바
황금알 낳는 게임산업, 충북은 뭐했나?
  • 오옥균 기자
  • 승인 2017.02.10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지역기반게임산업 예산 641억원, 충북·강원·제주만 배제
문체부 관계자 “정치적 영향력” 인정…2018년 추가선정 노려야

포켓몬고 열풍으로 게임산업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충북에게 게임산업은 ‘그림의 떡’일 뿐이다.

정부는 게임산업을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5년부터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최순실 사태로 문체부 사업 분야 상당수의 예산이 축소된 와중에도 게임산업 예산은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국회예결위는 전년도보다 23.5%(추경 포함) 증가한 641억 7300만원의 게임예산을 통과시켰다. 문제는 이 가운데 충북의 몫이 ‘0’원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11월 1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16', 20만명 이상이 전시회를 찾아 게임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전 1년 새 개발업체 3배 늘어

대표적인 사업은 ‘글로벌게임산업 육성’과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이다. 글로벌게임산업 육성사업에는 지난해보다 35% 증가한 166억 5000만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중소개발사 경쟁력 강화와 해외 진출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충북은 게임개발업체가 전무한 실정이다.

주목해야할 사업은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이다. 사업명에서 나타나듯 이 사업은 지역별로 분야를 특화시켜 게임산업을 육성하는 것이다.

2015년 부산과 대구, 광주 3곳으로 시작한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은 지난해 경기, 전북, 전남, 대전, 경북이 추가되면서 대전충남권, 광주전남권, 전북권, 대구경북권, 부산경남권, 경기권 등 권역 개념으로 재편됐다. 총 6개 권역에 올 한해동안 155억원(지방비 포함 310억원)이 투입된다. 해당사업은 이미 인프라를 갖춘 서울시를 대상지역에서 배제했다.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지역은 충북과 강원, 제주 뿐이다.

해당사업은 정부의 지원만큼 지자체의 예산이 투입되며 각 지역 진흥원이 사업주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6개 사업지역에는 규모에 따라 40억~6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총 3년간 진행되는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은 글로벌게임센터를 구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각 지역 진흥원은 게임센터를 운영하고, 게임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업체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고,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전의 경우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하 대전진흥원)이 사업을 이끌고 있다. 충북의 충북지식산업진흥원에 해당하는 기관이다.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특화한 대전은 이달 중 대전글로벌게임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고상우 대전진흥원 컨텐츠사업단 팀장은 “가장 큰 변화는 업체가 늘었다는 것이다. 사업 시작 전인 지난해 3월에는 14개였던 업체가 지금은 42개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게임산업의 특성상 드러나지 않은 개인 개발자도 있다. 지원 효과는 더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업체가 늘고 인프라가 갖춰지면서 구체적인 실적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1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16’에서 10억원 규모의 구매상담 실적을 거뒀다. 대전시 산업정책과 담당자는 “아직 지역경제 기여도를 수치화할 수준은 아니지만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자체 의지 있으면 참여 가능”

대전시는 정부 지원 포함 40억원의 예산을 게임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5억 4300만원을 들여 게임센터를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에 22억원을 쏟아 붓는다. 8개 게임업체가 이 예산으로 게임콘텐츠를 제작한다. 인력지원 등 기술역량 강화에도 2억 7600만원이 쓰이고, 해외 전시회 참가 등 시장 개척에만 2억 3000만원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전문가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펼치게 된다. 업체별로 환산해도 연간 1억원 가량을 지원받는 것이다. 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게임개발은 돈과의 싸움이다. 개발비가 지원되면 업체는 자연스럽게 생겨난다. 창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충북은 왜 사업에서 배제됐을까? 문체부 관계자는 취재진과 통화에서 놀라운 이야기를 전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 사업은 공모사업이 아니다. 지자체 매칭사업이다보니 의지가 있는 지자체와 문체부가 협의를 거쳐 정책·지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충북도가 의지를 나타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또 “지역 역량이 중요하다. 객관적인 여건도 봐야하지만 마지막에는 국회의원 등 정치권의 영향력도 있다. 무엇보다 지자체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취재결과 추가 지정도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체부 관계자는 “2018년 추가지정 여부가 올 상반기에 결정된다. 미래전략산업이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기회는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체부 관계자의 설명은 기존 6개 선정지역의 특화분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에 선정된 대구경북은 글로벌 연계 게임콘텐츠, 부산경남은 융합형 게임콘텐츠, 광주전남은 체감형 게임콘텐츠로 특화돼 있다. 지난해 추가된 대전충남은 시뮬레이션게임, 경기는 차세대 게임, 전북은 기능성 게임산업이다.

체감형 게임이란 신체를 접촉하거나 움직이면서 하는 게임이고, 시뮬레이션게임은 현실상황을 게임으로 표현한 게임이다. 기능성 게임은 교육 등 특별한 목적을 의도로 만든 게임을 말한다. 대전충남과 전북, 광주전남은 그나마 구체적이다. 하지만 융합형 게임, 차세대 게임, 글로벌 연계 게임은 용어 자체부터 불분명하다. 특히 이들 특화분야와 지역의 연관성은 더욱 찾아볼 수 없다.

한 관계자는 “게임은 시공간적 제약이 없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지역 변별력이 없다는 점이 오히려 지역입장에서는 장점이다. 여타 산업처럼 원자재가격이나 국제관계에 따른 영향도 사실상 없다. 언어는 물론 문화 등의 장벽도 낮다. 지원이 있다면 어떤 산업보다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산업이 게임산업”이라고 지원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