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함께 즐거운 추석
상태바
다함께 즐거운 추석
  • 김영회 고문
  • 승인 2005.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휘영청 밝은 달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국민 최대의 명절 추석을 맞이합니다. 이미 전국의 도로, 철도, 뱃길, 항로(航路)는 때를 만나 고향으로 돌아가는 귀성객들로 초만원을 이루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연례행사가 된 ‘민족의 대이동’이 펼쳐지고 있는 것입니다. 벌써 몇 일전부터 전국의 도로 어귀에는 ‘귀성을 환영한다’는 플래카드들이 경쟁이나 하듯 내걸려 따뜻한 고향인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명 가배(嘉俳)라고도 불리는 추석은 신라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제3대 유리왕(서기 32년)때 경주에서는 해마다 7월이면 왕녀 두 사람이 아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8월 대보름 날 까지 한달 동안 베짜기대회를 갖고 잔치를 벌였는데 이것이 추석의 효시(嚆矢)라고 ‘동국세시기’는 적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추석은 민족의 명절로 2000여 년 가까운 긴 역사를 갖고 있는 셈입니다. ‘한시전(漢詩傳)’에 보면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이요, 월조소남지(越鳥巢南枝)’라는 아름다운 글 두 구가 나옵니다. ‘남으로 간 호마는 추운 겨울 북쪽을 향해 바람을 맞고, 북으로 간 월나라 새는 남쪽 가지를 골라 앉는다’는 고향을 그리는 시입니다.

말 못하는 동물일지언정 제 고향을 잊지 않는다는 이 명구는 인간의 노스탤지어를 그리는데 곧잘 애용되곤 합니다. 짐승이 그러할진대 하물며 인간임에야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속의 향수를 말해 무엇하랴 싶습니다.

우리 국민의 절반은 해마다 설, 추석, 두 차례 떠나 온 고향을 향해 귀성 길에 오릅니다. 일시적인 현상이지만 이 특이한 국민적 엑소더스는 무엇으로도 쉽게 설명되지 않는 우리 국민이 갖고 있는 고유한 문화입니다.

전 인구의 반인 2000여 만 명이 일시에 구름처럼 고향으로 몰려가는 이 집단현상은 ‘동물의 귀소본능’이라는 것 말고는 달리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고향을 생각하면 즐거워집니다. 그리고 마음이 설레입니다. 여우가 죽을 때 제 난 고향 언덕을 향해 머리를 눕힌다 하여 수구초심(首丘初心)이라 하듯 사람도 눈을 감는 그날까지 고향을 잊지는 못 합니다. 하기에 죽음에 임하면 고향 땅에 묻히기를 소원하고 명절이면 너나없이 고향으로, 고향으로 달려들 가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두가 즐거워야 할 명절에 그렇지 못한 이들도 우리 주변에는 의외로 많이 있다는 현실을 눈 여겨봐야 하겠습니다. 양로원이나 고아원에 수용된 무의탁 노인들과 부모 없는 아이들, 자식 없이 외롭게 사는 독거노인들과 소년소녀가장들은 즐거운 명절이 오히려 더 외롭기 마련입니다.

또 거리를 헤매는 실직자들과 돈 없는 가장들에게 명절은 더욱 괴롭기만 할 것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이웃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을 보여 준다면 더욱 뜻깊은 명절이 될 것입니다.

또한 명절은 여자들에게 고역을 안겨주는 때이기도 합니다. 제수 준비하랴, 시부모 모시랴, 손님접대에 아이들 보살피랴 온 종일 손에 물이 마르지 않는 것이 아내들, 며느리들의 하루인 것입니다. 가족들이 조금만이라도 배려를 한다면 그들의 노고가 훨씬 줄어든다는 사실을 만천하의 남편들은 유념했으면 좋겠습니다.

덥지도 춥지도 않고 오곡백과가 풍요로운 중추가절. 부디 온 국민이 외롭지 않게 함께 즐거운 추석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 간절합니다.                                                       / 본사고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